論書賸語 5. 臨古 6)-13) 6) 天地和明의 氣란 天地의 元氣이고 이것이 나누어져서 陰陽二氣로 된다. 天地陰陽의 氣는 小我를 超越하는 것이다. 일단 造化에 相通하면 天地之氣는 그대로 나의 氣가 되는 것이다. 孟子의 浩然之氣는 天地之氣이다. 한 번에 큰 힘을 얻을 수는 없다. 7) 似(닮음)에서 가장 重要한 것은 ..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2.02
論書賸語 5. 臨古 1)-5) 5. 臨古 1) 自運在服古 臨古須有我 兩者合之則雙美 離之則兩傷 (자운재복고 임고수유아 양자합지즉쌍미 이지즉양상) 自運은 자신의 創作이고 臨古는 古書의 臨書이다. 창작을 하려면 반드시 古法을 익혀야만 하고 臨古에는 자기의 主觀이 있어야만 한다. 臨古는 形態도 重要하지만 精神..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2.01
論書賸語 4, 用墨 4. 用墨 1) 墨(먹)은 풀과 같이 갈아서 써야 하는데 모름지기 湛湛하여 어린애의 눈동자 같아야만 좋다 古人은 글씨를 쓸 때 새벽에 일어나서 먹을 진하게 한 되 정도 갈아서 하루의 쓰임에 準備하였다. 사용할 때는 墨華(벼루 위에 뜬 기름과 같은 먹의 華)만을 取하고 찌꺼기는 버렸다고 ..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1.31
論書賸語 3. 結字 2,3 ,4 2) 作字不須豫立間架 長短大小 字各有體 因基體勢之自然 與爲消息 (작자불수예립간가 장단대소 자각유체 인기체세지자연 여위소식 所以能盡百物之情狀 而與天地之化相肖有意整齊 與有意變化 소이능진백물지정상 이여천지지화상초유의정제 여유의변화 皆是一方死法 개시일방사법) ..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1.30
論書賸語 3. 結字 1 3. 結字 1) 結字須令整齊中有參差 方免字如算子之病 逐字排比千體一同 (결자수령정제중유참치 방면자여산자지병 축자배비천체일동 便不成書 편불성서) 結字라는 것은 書의 構成이다. 構成에는 한 字의 構成法이 있고 한 行의 構成法이 있고 全幅의 構成法이 있다. 構成은 整齊중에 參差..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1.28
신권 교환 신권 교환 매년 이 때쯤에 신권을 교환한다. 삼거리에 있는 중앙농협에 가서 1백만원을 신권으로 교환하려 하니 1만원권은 20만원만 교환해주었다. 1000원짜리 10만원 5000원권 10만원 70만원은 5만원권으로 주기에 길 건너편에 있는 신협에 갔더니 30만원만 1만원권으로 교환해 준다고 하였으.. 오작교의 행보/내가 한일 할일 2019.01.28
論書賸語 運筆 20-21 20) 工妙之至 至於如不能工 方入神解 此元常之所以勝右軍 (공묘지지 지어여불능공 방입신해 차원상지소이승우군 魏晉之所以勝唐宋也 위진지소이승당송야) 工妙는 巧妙와 같다. 神解는 마음의 深奧한 곳에서 깨닫는 것을 말한다. 觀念上의 理解는 神解가 아니다. 神解는 體驗을 通해서 ..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1.27
論書賸語 運筆 18-19 18) 撥鐙(발등)이란 逆筆(역필)이다 筆尖(필첨)이 안으로 向하면 모든 勢가 다 逆으로 되어 浮滑(부활)한 病이 없게 된다. 書法은 用筆法으로써 根幹(근간)을 삼고 用筆法은 執筆法을 根底(근저)로 삼는다. 執筆法과 분리된 用筆法은 없다. 執筆이 바르게 되지 못하면 用筆도 바르게 되지 못..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1.26
論書賸語 運筆 15-17 15) 用筆沈勁 姿態乃至 (용필침경 자태내지) 用筆이 침경하게 되면 자태는 이에 지극하게 된다. 姿態는 造形의 妙味이다. 用筆이 沈勁하게 되면 全身全靈이 筆端에 集中하게 되어 觀念이 없어진다. 따라서 無心無我의 境地에서 神助를 얻는다. 神助를 얻으면 變態百出하게 된다. 16) 모름..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1.24
論書賸語 運筆 11-14 11) 하늘로 치솟아 오르는 龍처럼 動하고 깊은 물에 잠겨있는 龍처럼 靜한 筆勢를 순간의 사이에 통일시킨다. 12) 奇를 포섭하여 얻은 正, 正을 포섭하여 얻은 奇 이것이 차원 높은 正이고 奇이다. 이것은 色卽空 空卽色과 같은 동양적인 논리이다. 奇는 法에 구속되지 않는 것이지만 正卽..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