論書賸語 10. 草書 10. 草書 안으로 充實치 못한 사람은 밖으로 반드시 誇張하게 된다. 반드시 心氣가 和平하게 되어 法度에 들어 一波 一磔이라도 堅正하지 아니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 만일 조금이라도 제멋대로 하게 되면 法度에 어긋나고 整頓 된 것을 고치게 되어 惡道가 坌出한다. (분출은 함께 나타난..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2.09
論書賸語 9. 行書 9. 行書 以楷法作行則太拘 以草法作行則太縱 不拘不縱 瀟酒縱橫 (이해법작행즉태구 이초법작행즉태종 불구부종 소주종횡 穠纖得中 高下合度 蘭停聖敎鬱焉何遠 농섬득중 고하합도 난정성교울언하원) 楷法으로 行書를 쓰면 너무 拘束되고 草法으로 行書를 쓰면 지나치게 放縱하게 된다...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2.08
3go가 고스톱 판인가... 설연휴를 마치고 오늘부터 업무를 시작하는 날이다. 농협에 입금하고 통장정리하려 갔더니 입구에 이런 글이 있었다. 3go가 무엇인가 유심히 보았다. 고스톱판인가?... 3은 세계 공통어이니...그런데 어디로 세번 가자는 뜻인지 보이스피싱 의심하go, 주저없이 전화 끊go 해당기관에 확인하g.. 오작교의 행보/내가 한일 할일 2019.02.07
論書賸語 8. 楷書 8. 楷書 唐의 楷書로부터 들어가서 平穩을 얻고 그 다음에 魏晉의 跌宕을배워야 한다. 大字는 結構를 結密하게 하여 쓸데 없는 공간이 없도록 하고 小字는 너그럽게 餘裕있게 해야한다. 蠅頭의 細書는 반드시 筆勢를 纡餘跌宕(우여질탕)하게 하여 尋丈의 큰 글자와 같은 勢가 있어야 훌륭..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2.06
論書賸語 7. 隸書 7. 隸書 隸書는 沈勁을 根本으로 삼아야 한다. 沈은 沈着이고 勁은 骨의 剛한 것이다. 用筆이 沈勁하지 못하면 漢을 배워도 唐을 배워도 모두 正道가 아니다. 隸書는 반드시 方勁古拙함이 못을 끊고 쇠를 자르듯 하여 붓을 뽑음이 수평으로 강한 것이 칼의 머리를 자르듯이 起筆은 강하게 ..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2.05
500원 벌다. 아침 일찍 목욕을 간다. 6시를 전후해서 오늘도 5시 50분에 집을 나섰다. 아파내에 있는 목욕탕에를 갔다 5000원짜리 한 장을 내니 500원을 더 내란다. 올랐단다. 지금까지 표를 20장씩 사서 사용하였는데 표가 떨어져서 돈을 가져왔는데 올랐는줄을 몰랐다고 하니 그냥 들어가란다. 그래서 50.. 오작교의 행보/내가 한일 할일 2019.02.05
귀지로 보는 건강 상태 4가지 몸에서 분비되거나 축적되는 노폐물은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지표가 된다. 귓구멍 속에 낀 때, 즉 귀지도 그중 하나다. '헬스라인닷컴' 자료를 토대로 귀지로 보는 건강 상태 4가지를 알아본다. 1. 심한 악취가 난다 귀지에서 심한 냄새가 난다면 이는 귓속에 염증이 생겼거나 손상을 입었.. 오작교의 행보/건강 2019.02.03
論書賸語 6. 篆書 6. 篆書 篆書用筆須如線裏鐵 行筆須如蠶吐絲 (전서용필수여선이철 행필수여잠토사) 篆書의 用筆은 모름지기 솜으로 鐵線을 싸고 있는 것과 같이 해야 하고 行筆은 모름지기 누에가 실을 吐하는 것과 같이 해야 한다. 누에가 실을 吐하듯이 한다는 말은 조용히 해야 한다는 뜻이다. 篆書..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2.03
論書賸語 5. 臨古 6)-13) 6) 天地和明의 氣란 天地의 元氣이고 이것이 나누어져서 陰陽二氣로 된다. 天地陰陽의 氣는 小我를 超越하는 것이다. 일단 造化에 相通하면 天地之氣는 그대로 나의 氣가 되는 것이다. 孟子의 浩然之氣는 天地之氣이다. 한 번에 큰 힘을 얻을 수는 없다. 7) 似(닮음)에서 가장 重要한 것은 ..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2.02
論書賸語 5. 臨古 1)-5) 5. 臨古 1) 自運在服古 臨古須有我 兩者合之則雙美 離之則兩傷 (자운재복고 임고수유아 양자합지즉쌍미 이지즉양상) 自運은 자신의 創作이고 臨古는 古書의 臨書이다. 창작을 하려면 반드시 古法을 익혀야만 하고 臨古에는 자기의 主觀이 있어야만 한다. 臨古는 形態도 重要하지만 精神.. 오작교의 행보/글씨 2019.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