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100 增補篇 周易曰, 善不積, 不足以成名, 惡不積, 不足以滅身。 小人, 以小善爲无益而弗爲也, 以小惡爲无傷而弗去也, 故, 惡積而不可掩, 罪大而不可解。 주역왈, 선부적, 부족이성명, 악부적, 부족이멸신。 소인, 이소선위무익이불위야, 이소악위무상이불거야, 고, 악적이불가엄, 죄대이불가.. 문화/유교문화재 2016.09.04
明心寶鑑 99 賢婦는 令夫貴하고 佞婦는 令夫賤이니라 현부는 영부귀하고 녕부는 영부천이니라 어진 부인은 남편을 귀하게 하고, 말재주나 피는 부인은 남편을 천하게 하느니라. (字義) ○令+A+술어: A로 하여금 ~하게 하다. 使와 쓰임새가 비슷하다. ○佞는 말재주 녕(영), 아첨할 녕(영). 家有賢.. 문화/유교문화재 2016.09.03
明心寶鑑 98 此四德者는 是婦人之大德이니 而不可缺之者也라 爲之甚易하고 務之在 正하니 依此而行하면 是爲婦節이니라 차사덕자는 시부인지대덕이니 이불가결지자야라 위지심이하고 무지재 정하니 의차이행하면 시위부절이니라 이 네가지 덕은 아녀자의 큰 덕이니 결(缺)해서는 안될 것들이다. .. 문화/유교문화재 2016.09.02
明心寶鑑 97 其婦德者는 淸貞廉節하되 守分整齊하고 行止有恥하여 動靜有法이니 此爲婦德也요 婦容者는 洗浣塵垢하되 衣服鮮潔하고 沐浴及時하여 一身無穢니 此爲婦容也요 婦言者는 擇師而說하되 不談非語하고 時然後言하여 不厭於人이니 此爲婦言也요 婦工者는 專勤紡績하되 勿好暈酒하고 供.. 문화/유교문화재 2016.09.01
明心寶鑑 96 婦行篇 여기 실린 부행편(婦行篇) 전반부의 글귀들은 구시대적인 내용들로서 옛사람들의 삶의 방식을 엿보는데 불 과하다 할지라도, 후반부의 내용은 현대의 여자들 역시 새겨둘 말이 아닌가 한다. 益智書 云 女有四德之譽하니 一曰婦德이오 二曰婦容이오 三曰婦言이오 四曰婦工也니라.. 문화/유교문화재 2016.08.31
明心寶鑑 95 路遙知馬力이오 日久見人心이니라 로요지마력이오 일구견인심이니라 길이 멀어야 말의 힘을 알 수 있고, 날이 오래 지나야 사람의 마음을 알 수 있느니라. (字義) ○5언의 대구문은 2.3 2.3으로 끊는 것이 일반적이다. ○遙는 멀 요. 󰄤�遙遠(요원). ○日은 ①날 일. ②해 일 ③낮 .. 문화/유교문화재 2016.08.30
明心寶鑑 94 酒食兄弟는 千個有로되 急難之朋는 一個無니라 주식형제는 천개유로되 급란지붕은 일개무니라 주식형제는(술마시고 먹고 놀 때, 형이니 동생이니 하는 사이는) 천 개가 있으나, 급난지붕은(위급하고 어 려운 때 도와주는 벗은) 일 개도 없구나. (字義) ○4.3 4.3으로 끊는다. ○“~~有,~~無.. 문화/유교문화재 2016.08.29
明心寶鑑 93 子曰, 晏平仲은 善與人交로다 久而敬之오녀 子曰, 안평중은 선여인교로다 구이경지오녀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안평중은 사람과 사귀기를 잘하였으니, 오래되어도 그 벗을 공경하였노라. (字義) ○이 글은 論語에 실려 있다. ○善+술어: 잘 ~하다. ~하기를 잘하다. 이 글에서는 善이交에 걸.. 문화/유교문화재 2016.08.28
明心寶鑑 92 家語云 與好學人同行에 如霧露中行하여 雖不濕衣라도 時時有潤하고 與無識人同行에 如厠中坐하여 雖不汚衣라도 時時聞臭니라 가어운 여호학인동행에 여무로중행하여 수불습의라도 시시유윤하고 여무식인동행에 여측중좌하여 수불오의라도 시시문취니라 공자가어(孔子家語)에 이르.. 문화/유교문화재 2016.08.27
明心寶鑑 91 交友篇 벗 사귐에 관해 맹자(孟子)의 아주 유명한 말씀이 있다. “벗을 사귄다는 것은 그 사람의 덕을 사귀는 것이다”(友也者, 友其德也). 증자(曾子)는 또 이런 말을 했다. “군자는 글을 통해서 벗을 모으고, 벗을 통해서 仁을 이루는데 도움을 받는다”(君子, 以文會友, 以友輔仁) 아래.. 문화/유교문화재 2016.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