賢婦는 令夫貴하고 佞婦는 令夫賤이니라
현부는 영부귀하고 녕부는 영부천이니라
어진 부인은 남편을 귀하게 하고,
말재주나 피는 부인은 남편을 천하게 하느니라.
(字義)
○令+A+술어: A로 하여금 ~하게 하다.
使와 쓰임새가 비슷하다.
○佞는 말재주 녕(영), 아첨할 녕(영).
家有賢妻면 夫不遭橫禍니라
가유현처면 부부조횡화니라
집에 어진 아내가 있으면
남편이 횡화(橫禍)를 만나지 않느니라.
(字義)
○A(명사)+有+B: A에 B가 있다.
○遭는 만날 조. ??遭遇(조우).
○橫은 가로 횡. 빗길 횡. 橫禍(횡화)는 뜻밖에 빗긴 화.
?橫財(뜻밖에 얻은 재물), 橫死(뜻밖의 죽음).
賢婦는 和六親하고 佞婦는 破六親이니라
현부는 화육친하고 녕부는 파육친이니라
어진 부인은 육친을 화목하게 하고,
말재주나 피는 부인은 육친을 깨뜨리느니라.
(字義)
○六親은 부모형제처자(父母兄弟妻子)를 의미하는 단어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