墨悲絲染 [49] 墨悲絲染하고 : 묵자는 실이 물드는 것을 보고 슬퍼하였고 [50] 詩讚羔羊이라 : 시(詩)는 고양편(羔羊篇)을 찬미하였다 墨(먹 묵) 悲(슬플 비) 絲(실 사) 染(물들일 염) 詩(글 시) 讚(기릴 찬) 羔(염소 고) 羊(양 양) [51] 景行維賢이요 : 행실이 빛나면 오직 어질고(어진 사람이 되고) [52] 克念.. 문화/유교문화재 2016.10.17
罔談彼短 [45] 罔談彼短하고 : 저 사람의 단점을 말하지 말고 [46] 靡恃己長이라 : 자기의 장점을 믿지 말라 靡(아닐 미) 恃(믿을 시) 己(몸 기) 長(긴 장) 罔(없을 망) 談(말씀 담) 彼(저 피) 短(짧을 단) [47] 信使可覆하고 ; 믿음으로 하여금 가히 반복하게 하고 (회복하게 하고) [48] 器欲難量이라 ; 그릇은.. 문화/유교문화재 2016.10.16
女慕貞烈 [41] 女慕貞烈하고 : 여자(계집)는 정렬(곧음과 매움)을 사모해야 하고 [42] 男效才良이라 : 남자(사내)는 재주와 어짊을 본받아야 하느니라 女(계집 녀) 慕(사모할 모) 貞(곧을 정) 烈(매울 렬) 男(사내 남) 效(본받을 효) 才(재주 재, 바탕 재) 良(좋을 량, 어질 량) [43] 知過必改하고 : 허물을 알.. 문화/유교문화재 2016.10.15
蓋此身髮 [37] 蓋此身髮(개차신발)은 : 대개 이 몸과 터럭은 [38] 四大五常(사대오상)이니 : 네 가지 큰 것과 다섯 가지 떳떳한 것이 있으니 蓋(대개 개) 此(이 차) 身(몸 신) 髮(터럭 발) 四(넉 사) 大(큰 대) 五(다섯 오) 常(떳떳 상) [39] 恭惟鞠養(공유국양)이면 : 공손히 치고 기른 것을 생각하면 [40] 豈敢.. 문화/유교문화재 2016.10.14
鳴鳳在樹 [33] 鳴鳳在樹하고 : 우는 봉황새는 나무에 있고(깃들고) [34] 白駒食場이라 : 흰 망아지는 마당에서 풀을 뜯어먹는다 鳴(울 명) 鳳(봉새 봉) 在(있을 재) 樹(나무 수) 白(흰 백) 駒(망아지 구) 食(먹을 식) 場(마당 장) [35] 化被草木하고 : 덕화가 초목에까지 입혀지고 [36] 賴及萬方이라 : 그 힘입.. 문화/유교문화재 2016.10.13
愛育黎首 [29] 愛育黎首하고 : 백성(黎首는 黎民으로 백성을 가리킴)을 사랑하고 기르니 [30] 臣伏戎羌이라 : (이민족인) 융과 강이 신하로 따른다 愛(사랑 애) 育(기를 육) 黎(검을 려) 首(머리 수) 臣(신하 신) 伏(엎드릴 복) 戎(오랑캐 융, 되 융) 羌(오랑캐 강) [31] 遐邇壹體(하이일체)하고 : 멀고 가까.. 문화/유교문화재 2016.10.12
弔民伐罪 [25] 弔民伐罪는 : 백성을 조문(위로)하고 죄를 친(정벌한) 이는 [26] 周發殷湯이라 : 주나라 무왕(發)과 은나라 탕왕이다. 弔(조문할 조, 위로할 조) 民(백성 민) 伐(칠 벌) 罪(허물 죄) 周(나라 주, 두루 주) 發(필 발, 쏠 발) 殷(나라 은, 성할 은) 湯(끓을 탕) [27] 坐朝問道하고 : 조정에 앉아서 .. 문화/유교문화재 2016.10.11
始制文字 [21] 始制文字(시제문자)하고 : 비로서 문자를 만들고 [22] 乃服衣裳(내복의상)이라 : 이에 의상을 입음이라 始(비로서 시) 制(지을 제) 文(글월 문) 字(글자 자, 시집갈 자) 乃(이에 내) 服(입을 복, 옷 복, 따를 복) 衣(옷 의) 裳(치마 상) [23] 推位讓國은 : 자리를 밀쳐(미루어) 나라를 사양한 이.. 문화/유교문화재 2016.10.10
海鹹河淡 [17] 海鹹河淡(해함하담)하고 : 바닷물은 맛이 짜며 하수의 물은 싱겁고 [18] 鱗潛羽翔(인잠우상)이라 : 비늘 달린 물고기는 물속에 잠겨 있고 깃달린 새는 난다. 海(바다 해) 鹹(짤 함) 河(물 하) 淡(싱거울 담) 鱗(비늘 린) 潛(잠길 잠) 羽(깃 우) 翔(날개 상) [19] 龍師火帝하고 : 용의 스승이요 .. 문화/유교문화재 2016.10.09
劍號巨闕 [13] 劍號巨闕이요 : 검은 거궐이 이름나고 [14] 珠稱夜光이라 : 구슬로는 야광주를 일컫는다. 劍(칼 검) 號(이름 호) 巨(클 거) 闕(집 궐) 珠(구슬 주) 稱(일컬을 칭) 夜(밤 야) 光(빛 광) [15] 果珍李柰하고 : 과일은 오얏과 벚을 보배롭게 여기고 [16] 菜重芥薑이라 : 채소는 겨자와 생강을 중히 .. 문화/유교문화재 2016.1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