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110 洪基燮, 少貧甚無料。 一日早, 婢兒踊躍獻七兩錢曰此在鼎中, 米可數石, 柴可數駄, 天賜天賜。 公驚曰是何金。 卽書失金人推去等字, 付之門楣而 待。 俄而姓劉者, 來問書意, 公悉言之。 劉曰理無失金於人之鼎內, 果天 賜也, 盍取之。 公曰非吾物, 何。 劉俯伏曰小的, 昨夜, 爲竊.. 문화/유교문화재 2016.09.16
明心寶鑑 109 廉義篇 염의편에서도 역시 실례를 들어, 옛사람들의 염치(廉恥)와 의리(義理)를 보여준다. 현대에는 염치와 의리를 지키다간 오히려 자신만 손해를 본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러한 손해쯤은 결국 언젠가는 만회 될 날이 분명히 올 것이다. 항상 떳떳한 자신이 되도록 노력하.. 문화/유교문화재 2016.09.15
明心寶鑑 108 都氏家貧至孝, 賣炭買肉, 無闕母饌。 一日於市, 晩而忙歸, 鳶忽攫肉, 都 悲號至家, 鳶旣投肉於庭。 一日母病索非時之紅柿, 都, 彷徨柿林, 不覺日 昏, 有虎屢遮前路, 以示乘意, 都, 乘至百餘里山村, 訪人家投宿, 俄而主人, 饋祭飯而有紅柿, 都, 喜問柿之來歷, 且述己意, 答曰.. 문화/유교문화재 2016.09.14
明心寶鑑 107 向德, 値年荒癘疫, 父母飢病濱死, 向德日夜不解衣, 盡誠安慰, 無以爲養, 則刲髀肉食之。 母發癰, 吮之卽癒。 王嘉之, 賜賚甚厚, 命旌其門, 立石 紀事。 향덕, 치년황려역, 부모기병빈사, 향덕일야불해의, 진성안위, 무이위양, 칙규비육식지。 모발옹, 연지즉유。 왕가지, .. 문화/유교문화재 2016.09.13
明心寶鑑 106 孝行篇續 이 편은 앞에 나온 효행편의 속편으로 효행에 관한 실례를 들고 있다. 옛사람들의 실제 효행(孝行)을 통해 그 효심(孝心)을 엿볼 수 있으리라. 孫順, 家貧, 與其妻傭作人家以養母, 有兒每奪母食。 順謂妻曰兒奪母食, 兒可得, 母難再求。 乃負兒往歸醉山北郊, 欲埋堀地, 忽有甚寄.. 문화/유교문화재 2016.09.12
明心寶鑑 105 親有十分慈, 君不念其恩, 兒有一分孝, 君就揚其名, 待親暗待子明, 誰識 高堂養子心, 勸君漫信兒曹孝, 兒曹親子在君身。 친유십분자, 군불념기은, 아유일분효, 군취양기명, 대친암대자명, 수식 고당양자심, 권군만신아조효, 아조친자재군신。 어버이는 100% 자애로움이 있어도 그대는 그 .. 문화/유교문화재 2016.09.11
明心寶鑑 104 富貴養親易, 親常有未安, 貧賤養兒難, 兒不受饑寒, 一條心兩條路, 爲兒 終不如爲父, 勸君兩親如養兒, 凡事莫推家不富。 부귀양친역, 친상유미안, 빈천양아난, 아불수기한, 일조심양조로, 위아 종불여위부, 권군량친여양아, 범사막추가불부。 부하고 귀하면 어버이를 봉양하기 쉬운데도 .. 문화/유교문화재 2016.09.10
明心寶鑑 103 看君晨入市, 買餠又買餻, 少聞供父母, 多說供兒曹, 親未啖兒先飽, 子心 不比親心好, 勸君多出買餠錢, 供養白頭光陰少。 간군신입시, 매병우매고, 소문공부모, 다설공아조, 친미담아선포, 자심 불비친심호, 권군다출매병전, 공양백두광음소。 그대가 새벽에 시장에 들어가서 떡을 사.. 문화/유교문화재 2016.09.09
明心寶鑑 102 兒曹出千言, 君聽常不厭, 父母一開口, 便道多閑管, 非閑管親掛牽, 皓首 白頭多諳練, 勸君敬奉老人言, 莫敎乳口爭長短。 아조출천언, 군청상불염, 부모일개구, 편도다한관, 비한관친괘견, 호수 백두다암련, 권군경봉로인언, 막교유구쟁장단。 어린 자식들은 천 마디의 말을 하되 그대.. 문화/유교문화재 2016.09.08
明心寶鑑 101 八反歌八首 팔반가(八反歌) 여덟 수(首)는 어버이를 봉양하고 아이를 기름에 있어서, 그 부모와 자식의 사이에서 갖는 여 덟 가지의 상반된 마음을 비교하여 읊은 노래이다. 아이를 대하는 마음과 늙으신 어버이를 대하는 마음을 실 례를 들어가며 그 상반된 태도를 날카롭게 꼬집고 있다.. 문화/유교문화재 2016.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