麥秀之嘆(맥수지탄) 麥秀之嘆(맥수지탄) : 맥수(麥穗)란 보리가 무성하다는 뜻으로, 옛날 번영하던 도읍에 보리가 무성하게 자란 것을 보고 고국의 멸망을 탄식했다는 일화에서 비롯된 성어이다. <보리 맥><빼어날 수><의 지> <탄식할 탄> ☞ 기자(箕子)는 주왕의 도읍으로 가던 도중 은(殷)의 ..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10
馬耳東風(마이동풍) 馬耳東風(마이동풍) : 말의 귀를 스치는 동쪽 바람이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충고를 전혀 듣지 않는 것을 말한다. 우이독경(牛耳讀經; 소 귀에 경 읽기)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말 마> <귀 이> <동녘 동><바람 풍> ☞ 왕거일한야독작유회 王去一寒夜獨酌有懷 ‘..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09
登高自卑(등고자비) 登高自卑(등고자비) :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올라가야 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순서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中庸」 <오를 등><높을 고><스스로 자><낮을 비> ☞ 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 辟如登高必自卑 詩曰 妻子好合 如鼓瑟琴 兄弟旣翕..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08
同病相憐(동병상련) 同病相憐(동병상련) : 같은 종류의 병을 앓고 있는 사람끼리 서로를 불쌍히 여긴다는 뜻으로, 비슷한 처지에 있는 사람들이 서로를 잘 이해하고 동정한다는 말이다. <같은 동><앓을 병><서로 상><불쌍히 여길 련> ☞ 오(吳)나라의 강가 사람들이 부르는 노래에서 따온 말이..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07
塗炭之苦(도탄지고) 塗炭之苦(도탄지고) : 석탄 속에 빠진 온몸의 괴로움을 나타낸 말로서, 심한 고통속에 빠져 있음을 뜻한다. <칠할 도> <숯 탄><의 지><괴로울 고> ☞ 은(殷)나라의 탕왕(湯王)은 하(夏)나라 걸왕(桀王)의 대군을 대파하고 천자의 자리에 올랐다. 탕왕의 서사(誓詞)는 서경(書..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05
大器晩成(대기만성) 大器晩成(대기만성) : 큰 일이나 큰 인물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고생 끝에 늦게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큰 대> <그릇 기><늦을 만><이룰 성> ☞ 삼국시대 위(魏)나라에 최염(崔琰)이라고 하는 장수가 있었다. 목소리가 유연하고 모습은 한층 눈에 띄며 수염이 4척..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04
斷機之敎(단기지교) 斷機之敎(단기지교) : 짜던 베도 도중에 자르면 쓸모가 없듯이 학업도 도중에 중단해서는 안 됨을 경계하는 말이다. 단기지계(斷機之戒)라고도 함. 「後漢書․烈女傳」 <끊을 단><기계 기><의 지><가르칠 교> ☞ 맹자가 어렸을 때 공부를 마치고 돌아오니 맹자의 어머..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03
多多益善(다다익선) 多多益善(다다익선) : 많으면 많을수록 좋다는 뜻이다. <많을 다><많을 다><더할 익><착할 선> ☞ 한고조(漢高祖)인 유방(劉邦)은 천하를 통일한 다음, 당시 초왕(楚王)이 있던 한신(韓信)에게 반란의 기미가 있다고 하여, 붙잡아서 왕위를 박탈하고 회음후 (澮陰候)로 좌천..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02
累卵之危(누란지위) 累卵之危(누란지위) : 높이 쌓아올린 계란이란 뜻으로 조금만 건드려도 무너지고 마는 상태 즉~ 아주 위험한 상태에 처해 있음을 말한다. <포갤 루><계란 란> <갈 지><위험할 위> ☞ 진왕지국 위어누란 득신즉안 연불가이서전야 신고재래 秦王之國 危於累卵 得臣則安 然不.. 기타 /교훈.훈화말 2017.03.29
囊中之錐(낭중지추) 囊中之錐(낭중지추) : 주머니 속에 송곳이 들어 있으면 뾰족하여 밖으로 뚫고 나오는 것처럼 재능이 있는 사람은 언젠가는 그 재능이 나타난다는 말이다. <주머니 낭><가운데 중><갈 지> <송곳 추> ☞ 부현사지처세야 비약추지처낭중 기말입견 夫賢士之處世也 譬若錐之處.. 기타 /교훈.훈화말 2017.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