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器晩成(대기만성) : 큰 일이나 큰 인물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고생 끝에 늦게 이루어진다는 말이다.
<큰 대> <그릇 기><늦을 만><이룰 성>
☞ 삼국시대 위(魏)나라에 최염(崔琰)이라고 하는 장수가 있었다. 목소리가 유연하고
모습은 한층 눈에 띄며 수염이 4척이나 되는 이 장수를 무제(武帝)는 누구보다도 신임하고
친근히 여겼다.
최염에게는 사촌인 최림(崔林)이 있었는데 친척들에게 사람 대접을 못 받는 것을 보고,
“동생은 대기만성(大器晩成)형이다.”라고 말하며 그의 인물됨을 평했다.
얼마 후 과연 최림은 천자의 고문이 되었다고 한다.
「老子」
☞ 『노자(老子)』는 제41장에 다음과 같이 말했다.
<上等의 선비는 도(道)를 들으면 힘써 행하고, 中等의 선비는 도를 들으면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하며, 下等의 선비는 도를 들으면 크게 웃는다. 웃지 아니하면 족히
도가 되지 못한다. 그러므로 옛사람이 세운 말에 이런 게 있다. ‘밝은 도는 어두운 것 같고,
나아가는 도는 물러서는 것 같고, 평탄한 도는 험한 것 같다.
최상의 덕은 골짜기와 같고, 너무 흰 것은 더러운 것 같고, 넓은 덕은 부족한 것 같고,
세운 덕은 변하는 것 같고, 변함없는 덕은 변하는 것 같고, 큰 네모에는 구석이 없다.
큰 그릇은 늦게 이루어지고 大器晩成, 큰 소리는 소리가 없고, 큰 형상은 형상이 없다.
도(道)는 숨겨져서 이름이 없다. 대저 오직 도는 잘 빌려 주어 또 이룬다.>
여기에서 말한 <대기만성>의 만성이란 <아직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큰 인물은 쉽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는 뜻이 되며, 또 < 큰 인물은 늦게 이루어진다>
라는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기타 > 교훈.훈화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同病相憐(동병상련) (0) | 2017.04.07 |
---|---|
塗炭之苦(도탄지고) (0) | 2017.04.05 |
斷機之敎(단기지교) (0) | 2017.04.03 |
多多益善(다다익선) (0) | 2017.04.02 |
累卵之危(누란지위) (0) | 2017.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