彡 (터럭 삼) 彡 (터럭 삼) ; [ 터럭, 무늬와 장식의 상징 ] ‘설문해자’에서는 彡 을 ‘터럭, 장식, 필획, 무늬’ 등을 말한다고 했지만 彡의 원래 의미는 ‘털’로 보인다. 인간이나 동물의 ‘터럭’으로부터 시작하여, 동물의 덥수룩한 털이나 인간의 머리칼과 수염등이 개인의 특성을 표.. 문화/유교문화재 2016.11.26
弓 ( 활 궁 ) 弓 ( 활 궁 ) ; [ 활, 사냥 도구이자 방어 무기 ] 弓은 갑골문에서 활을 그렸는데, 활시위가 얹힌 경우도 있고 풀린 경우도 보인다. 활은 고대사회에서 식량으로 쓸 짐승을 잡는 도구로 쓰였으며, 야수나 적의 침입을 막아내는 유용한 무기이기도 하다. 弓으로 구성된 한자는 활을 지칭하거.. 문화/유교문화재 2016.11.25
川 ( 내 천 ) 川 ( 내 천 ) ; [ 강, 소통의 통로이자 재앙의 원천 ] 강은 인간 문명의 시원이자 재앙의 원천이다. 세계의 고대 문명이 모두 강을 중심으로 생겨났다. 강은 인간에게 먹고 씻을 수 있는 물과 주변의 비옥한 토지를 제공했다. 하지만 주변의 비옥한 토지는 거의 매년 발생하는 홍수의 결과이.. 문화/유교문화재 2016.11.24
尸 ( 주검 시 ) 尸 ( 주검 시 ) ; [ 다리를 굽힌 시체, 굴장의 반영 ] 尸를 ‘설해문자’에서는 누운 사람의 모습이라 했지만, 갑골문은 사람의 다리를 구부린 모습이 분명하다. 혹자는 이를 책상다리를 하고 앉은 것이라고도 하지만, 우리나라 남부의 돌무덤에서 자주 발견되는 매장법의 하나인‘굽혀묻.. 문화/유교문화재 2016.11.23
小 (작을 소 ) 小 (작을 소 ) ; [ 모래알, 작음의 상징 ] 小는 갑골문에서 작은 점을 셋 그렸다. 셋은 많음의 상징이고, 작은 점은 모래알로 보인다. ‘설해문자’에서는 갈라짐을 뜻하는 八(여덟 팔)과 이를 구분 지어 주는 세로획(丨 곤)으로 구성되었다고 했으나, 이는 소전체에 근거한 해석이며 갑.. 문화/유교문화재 2016.11.22
宀 (집 면 ) 宀 (집 면 ) ; [ 집, 인간의 안식처 ] 宀은 고대가옥의 형상을 따서 만든 글자로, 포괄적인 의미의 집을 뜻하지만, 첫째 집이 가져다주는 안락함, 둘째 집을 중심으로 가족과 가문이 형성되었기에 조상님의 위패를 모시는 ‘종묘’, 셋째 그곳이 인간이 생활하는 거주 ‘공간’이라.. 문화/유교문화재 2016.11.21
子 (아들 자) 子 (아들 자) ; [ 아들, 가문의 계승자 ] 子는 갑골문에서 머리칼이 달린 큰머리와 몸체를 그려 갓 태어난 ‘아이’를 형상화했다. 금문의 들면서 머리와 두 팔을 벌린 모습으로 변했지만, 머리를 몸체보다 크게 그려 어린아이의 특징을 잘 나타냈다. 이로부터 子는 ‘아이’, ‘자식’ 이.. 문화/유교문화재 2016.11.19
女 (계집 녀) 女 (계집 녀) ; [ 위대한 존재와 계집, 멀고도 가까운 거리 ] 女는 두 손을 앞으로 모우고 점잖게 앉은 여인의 모습이다. 한자에서 女의 상징은 시대를 따라 변해왔다. 처음에는 인류의 기원이자 무한한 생산성을 가진 위대한 존재로 인식 되었다. 여성이 아이를 낳는 모습인 后(임금 후)는 .. 문화/유교문화재 2016.11.18
大 (큰 대) 大 (큰 대) ; [ 사람, 위대한 존재 ] 大는 人(사람 인)과는 달리 크고 의대한 사람을 말한다. 人이 사람의 측면을 그린 것이라면 大팔과다리를 벌린 사람의 정면을 그려 크고 위대함을 묘사했다. 하지만 大에서 유의해야 할 것은 팔과 다리를 크게 펼친 모습 그 자체가 아니라 고대인들이 ‘.. 문화/유교문화재 2016.11.17
士 (선비 사) 士 (선비 사) ; [ 남성, 생명의 원천 ] 士의 자형을 두고 어떤 사람은 도구를, 어떤 사람은 단정히 앉은 법관의 모습을 그렸다고도 한다. 하지만 牛 (소 우)와 士 가 결합된 牡(수컷 모)가 소와 생식기를 그린 것을 보면 士는 남성의 생식기임에 분명하며, 이로부터 남성을, 나아가 지식인을 .. 문화/유교문화재 2016.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