明心寶鑑 2 明心寶鑑 2 0. 子曰 博學而篤志하고 切問而近思면 仁在其中矣니라. (思 생각사, 矣 어조사 의 ) (博 넓을 박, 篤 돈독할 독, 志 뜻 지, 切 간절할 절, 問 물을 문, 近 가까울 근, ) 널리 배워서 뜻을 두텁게 하고 묻기를 절실히 하여 생각을 가까이 하면 어짐이 그 가운데 있느니라. 0. 玉不琢이.. 문화/유교문화재 2016.04.20
明心寶鑑(명심보감). 1 明心寶鑑(명심보감). 1 明心寶鑑(명심보감). 上 명심보감은 여기저기서 모은 글이라 중복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0. 子曰 爲善者는 天이 報之以福하고 爲不善者는 天이 報之以禍니라. 자왈이란 공자가 말씀하시기를 착한 일을 하는 사람은 하늘이 복으로써 갚고 악한 일 을 한 사람에게.. 문화/유교문화재 2016.04.20
채근답 후집에서 채근답 후집 0. 눈앞에 닥쳐오는 모든 일에 족할 줄 알면 仙境(선경)이나 족할 줄을 모르면 속세이다. 0. 더위를 굳이 없엘 필요는 없다. 더위를 괴로워하는 마음만 없에면 몸은 언제나 서늘한 누대위에 있을 것이다. 0. 한 걸음 나아갈 때에 한 걸음 물러날 것을 생각하면 재앙을 면할 수 있.. 문화/유교문화재 2016.04.19
菜根譚 菜根譚 菜根譚 (채근담) 전집 0.‘사람은 언제나 나무뿌리를 씹을 수 있다면 모든 일을 이루게 될 것이다’ 라는 말에서 비롯 되었다고 한다. 0. 도덕을 지키고 사는 사람은 한 때 적막하지만 권세에 아부하여 사는 사람은 언제나 처량하다. 한 때 적막할지언정 만고의 처량함을 취하지 마.. 문화/유교문화재 2016.04.19
老子중에서 老子중에서 老子 老子는 사람이기도 하고 책이름이기도하다. 공자보다 20년 먼저 태어난 사람이라고 하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고 한다. 장자도 노자와 같이 사람이기도하고 책이름이기도 하다. 그러나 논어는 공자의 말씀이다. 0. 道는 길이다 만일 길이 없으면 개척해야하고 좁은 길은 넓.. 문화/유교문화재 2016.04.18
莊子중에서 莊子중에서 莊子(장자) 0. 작은 지혜는 큰 지혜에 미치지 못하고 수명이 짧은 것은 수명이 긴 것에 미치지 못한 다. 하루살이는 새벽과 밤을 모르고 쓰르라미는 봄과 가을을 모른다. 0. 뱁새가 깊은 숲속에 집을 짓되 나뭇가지 하나면 족하고 두더지가 황하의 물을 마신다 해도 배만 채우면.. 문화/유교문화재 2016.04.18
殃及池魚 殃及池魚 0. 앙급지어(殃及池魚) 재앙이 못의 고기에 미치다. 재난이 뜻하지 않은 곳에 미치는 것 0. 漁父之利(어부지리) 양쪽이 다투고 있을 때 제삼자에게 이익이 돌아감 0. 斬馬謖(참마속) 혹은 泣斬馬謖(읍참마속) 마속이라는 장군이 명령을 어겨서 처벌한 것 (울면서) 0. 轍鮒之急(.. 문화/유교문화재 2016.04.18
朝三暮四 朝三暮四 0. 朝三暮四(조삼모사) 얕은 꾀로 남을 속이는 것 원숭이들에게 도토리를 아침에 3 저녁에 4개 하니 안 된다고 야단이어서 그럼 아침에 4개 저녁에 3개라고 하니 손벽을 치면서 좋아했다는 고사에서 0. 指鹿爲馬(지록위마) 사슴을 가리켜 말이라고 우기다. 고의로 진상을 가리고 .. 문화/유교문화재 2016.04.18
良藥苦口 良藥苦口 0. 良藥苦口(양약고구) 좋은 약은 입에는 쓰다 良藥苦口利於病 忠言逆耳利於行 양약고구이어병 충언역이이어행 좋은 약은 입에는 쓰나 병에는 이하고 충성스런 말은 귀에는 거슬리나 행동에는 이롭다. 0.玉石混淆(옥석혼효) 좋고 나쁜 것이 한 테 썪여 있다는 뜻 0.愚公移山(.. 문화/유교문화재 2016.04.18
刎頸之交 문경지교 0. 문경지교(刎頸之交)는 완벽을 알아야 문경지교를 정확하게 알 수 있다. 1) 음훈 : 刎 목 찌를 문, 頸 목 경, 之 갈 지(…의), 交 사귈 벗 교 2) 관련사항 : ⓛ [동의어] 문경지계(刎頸之契) ② [유사어] 관포지교(管鮑之交), 금란지계(金 蘭之契), 단금지계(斷金之契) ③ [참조] 완벽(.. 문화/유교문화재 2016.04.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