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교문화재

良藥苦口

吳鵲橋 2016. 4. 18. 09:04



良藥苦口


0. 良藥苦口(양약고구)
좋은 약은 입에는 쓰다
良藥苦口利於病 忠言逆耳利於行
양약고구이어병 충언역이이어행
좋은 약은 입에는 쓰나 병에는 이하고
충성스런 말은 귀에는 거슬리나 행동에는 이롭다.

0.玉石混淆(옥석혼효)
좋고 나쁜 것이 한 테 썪여 있다는 뜻

0.愚公移山(우공이산)
우공이 산을 옮긴다는 뜻으로, 어떤 큰 일이라도 끊임없이 노력하면 반드시 이루어짐의 비유

0. 韋編三絶(위편삼절)
[字解]
韋 가죽 위.
編 엮을 편.
三 석 삼.
絶 끊을 절.
[意義]
책을 엮은 죽간(竹簡)의 가죽끈이 세번이나 끊어졌다는 말로,책을 여러 번 읽어 닳고 딣은 것을 말한다.
현대식으로 말하면, 한 권의 책을 몇십 번이나 되풀이해서 읽어서 책을 철(綴)한 곳이 닳아 흩어진 것을 다시 고쳐 매어서 애독(愛讀)을 계속하는 것을 말한다

0. 李下不整冠(이하부정관)
오얏나무 밑에서 관을 고쳐 쓰지 말라는 뜻으로 남의 의심을 받을 일은 하지 말라는 말의 비유
李下不整冠瓜田不納履(이하부정관 과전불납이)
남의 관일나무밑에서는 모자를 고쳐쓰지말고 남의 외밭에서는 신발을 고쳐신지말라는 뜻 곧 남에게 의심받을 행동을 하지 말라는 뜻

0.새옹지마(塞翁之馬)
1) 음훈 : 塞 변방 새, 翁 늙은이 옹, 之 갈 지(…의), 馬 말 마
2) 관련사항 : ⓛ [원말] 인간만사 새옹지마(人間萬事塞翁之馬) ② [동의어] 새옹마(塞翁馬), 북옹마(北翁馬) ③ [유사어] 새옹득실(塞翁得失), 새옹화복(塞翁禍福), 화복 규목(禍福糾 ), 화복규승(禍福糾繩) ④ [출전]《淮南子》〈人生訓〉
3) 의미 : 세상 만사가 변전무상(變轉無常)하므로, 인생의 길흉 화복(吉凶禍福)을 예측할 수 없다는 뜻. 길흉화복의 덧없음의 비유.

0. 壓卷(압권)
가장 뛰어나 것
과거시험에서 가장 뛰어나 작품을 맨 위에 올려놓았다는데서 유래
다른 모든 것을 누르고 있다는 뜻


'문화 > 유교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殃及池魚  (0) 2016.04.18
朝三暮四  (0) 2016.04.18
刎頸之交  (0) 2016.04.18
곡학아세(曲學阿世)  (0) 2016.04.17
東洋古典名句篇(365句) 35   (0) 2016.0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