廉義篇
염의편에서도 역시 실례를 들어, 옛사람들의 염치(廉恥)와 의리(義理)를 보여준다. 현대에는 염치와 의리를
지키다간 오히려 자신만 손해를 본다고 여기는 사람들이 많다. 그러나 그러한 손해쯤은 결국 언젠가는 만회
될 날이 분명히 올 것이다. 항상 떳떳한 자신이 되도록 노력하는 삶이 손해본 인생이라고 여기는 사람과 장차
무엇을 더불어 논하리오?
印觀賣綿於市, 有暑調者以穀買之而還, 有鳶攫其綿, 墮印觀家, 印觀, 取
歸于署調曰鳶墮汝綿於吾家, 故, 還汝, 署調曰鳶攫綿與汝, 天也, 吾何爲
受, 印觀曰然則還汝穀, 署調曰吾與汝者市二日, 穀已屬汝矣。 二人相讓,
幷棄於市而歸, 掌市官以聞王, 竝賜爵。
인관매면어시, 유서조자이곡매지이환, 유연확기면, 타인관가, 인관, 취
귀우서조왈연타여면어오가, 고, 환여, 서조왈연확면여여, 천야, 오하위
수, 인관왈연칙환여곡, 서조왈오여여자시이일, 곡이속여의。 이인상양,
병기어시이귀, 장시관이문왕, 병사작。
인관이 시장에서 솜을 파는데 서조(署調)라는 사람이 곡식으로 그것을 사가지고 돌아 가는데 어느 소리개가 그 솜을 채 가지고 인관의 집에 떨어 뜨렸다. 인관이 주어다가 서조에게 돌려 보내고 말하기를, “소리개가 당신의 솜을 내 집에 떨어뜨렸으니 고로, 딩신에게 돌려줍니다.”하니, 서조가 말하기를, “소리개가 솜을 움켜 채다가 당신에게 준 것은 하늘이 한 것입니다. 내가 어찌 받을 수 있겠소?”하였다. 인관이 말하기를, “그렇다면 당신의 곡식을 돌려주겠소.”하니, 서조가 말하기를, “내가 당신에게 준 것이 벌써 시장이 선지 이틀이 되었으니 곡식은 이미 당신에게 속한 것이요”했다. 두 사람이 서로 사양하다가 솜과 곡식을 시장에다 같이 버리고 돌아와 버렸다. 시장을 관장하는 관원이 이로써(以) 임금께 아뢰어서 나란히 벼슬을 주었다.
(字義)
○印觀과 署調는 신라 때의 사람.
○綿은 솜 면.
○攫은 움켜쥘 확.
○墜는 떨어질 추.
○何爲는 무엇을 위하여? 무엇 때문에? 왜? 등등의 뜻으로 관용적으로 쓰인다.
○屬은 속할 속. ~에 속하다는 뜻이다.
○掌은 ①손바닥 장. ②맡을 장. ?팀의 主掌(주장), 管掌(관장).
○竝은 나란히 병.
○爵은 벼슬 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