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의 일생 공자의 일생 공자의 일생을 보면 공자의 아버지 숙량흘은 몰락한 귀족으로 하급 무사출신이었다. 그는 첫째 부인에게서 9명의 딸을 낳았으나 아들이 없어서 둘째 부인에게서 아들을 얻었으나 불구자여서 오직 아들을 얻겠다는 신념으로 셋째 부인을 얻었는데 16세의 안징재이다. 이 때 .. 문화/유교문화재 2016.01.24
퇴게선생 사당에 첫 여성 참배 성인도 시대를 따라야 2002년 7월 22일 퇴계선생의 사당에 처음으로 여성이 참배하였다. 선비문화 1기 1회수련생으로 참가하여 창홀을 내가 하였기 때문에 잘 안다. 각자 자기 소개를 하는 장면 내 차례이다. 안경 낀 옆 모습이 본인이다. 창홀을 연습하는 중 홀기 창홀자 자리로 가는 중 단.. 문화/유교문화재 2016.01.23
회연서원 회연서원 동강 신도비를 보고 회연서원으로 향하였다. 회연서원은 가까이 있기에 여러번 갔었다. 한강 정구에 대해서도 거의 다 아는 사실이라 오늘은 한강의 결혼에 대한 재미있는 이야기가 전해져 온다고 하는데 그 이야기를 해 볼까 한다. 옛날의 결혼은 당사자보다는 부모가 정해주.. 문화/유교문화재 2016.01.23
심산 김창숙옹의 생가 심산 김창숙옹의 생가 심산은 1949년 한국의 문묘에 중국 10철이하 72현 및 중국의 명유까지 봉안하는 것은 사대사상의 결과라 하여 공자와 4성 송조 4현 우리나라 18현 외의 중국94현의 위패는 埋安(위패를 땅에 묻음)하고 동서무에 모셨던 우리나라 18현의 위패는 대성전에 종향하는 일을 .. 문화/유교문화재 2016.01.23
한개 마을 한개 마을 한개 마을은 성산이씨들이 대를 이어 살아온 집성촌이다. 한개라는 이름은 큰 나루가 있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교리댁의 사당(폰으로 촬영하였더니 희미하다) 대문에 붙어 있는 울루와 신도 잡귀가 들어오지 마라는 벽사의 의미가 있다고 한다. 귀부의 머리가 .. 문화/유교문화재 2016.01.23
퇴계선생이 며느리 개가를 퇴계선생이 며느리 개가를 퇴계선생 며느리 개가(改嫁)하다. (개가(改嫁) - 과부나 이혼녀가 다시 시집가는 것.) 퇴계선생의 맏아들이 21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나자, 한창 젊은 나이의 맏며느리는 자식도 없는 과부가 되었다. 퇴계 선생은 홀로된 며느리가 걱정이었습니다. '남편도 자.. 문화/유교문화재 2016.01.23
조선 시대의 가마 조선시대의 가마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연 임금이 타던 가마로 덩 비슷한데, 좌우와 앞에 주렴(구슬을 꿰어 만든 발)이 있고, 헝겊을 비늘모양으로 늘이었으며, 두 개의 채가 길게 붙어 있다. (2) 덩 공주나 옹주가 타던 가마로 연과 비슷하다. (3) 가 교 임금이 타는 가마로, 두 마리의 .. 문화/유교문화재 2016.01.23
4성인과 안회 4성인과 안회 (백과사전에서) 공자 태어난 때 BC 551 태어난 곳 노(魯)나라 죽은 때 BC 479 죽은 곳 노나라. 소속 국가 중국 소속 국가 부속정보 노(魯) 직업 사상가 . 공자는 공부자(孔夫子)라고도 한다. 본명은 공구(孔丘). 자는 중니(仲尼). 그의 철학은 동아시아 전 문명권에 깊은 영향을 끼쳤.. 문화/유교문화재 2016.01.23
老子와 孔子 이야기 老子와 孔子 이야기 老子와 孔子 이야기 老子無爲(노자무위) 노자처럼 이끌고 孔子有爲(공자유위) 공자처럼 행하라 세상이 바라는 무위와 유위의 리더십 세상은 지금 이런리더를 원한다 수천년 동안 중국의 제왕술로 읽었든 도덕경과 현대 성공인의 뿌리인 논어에서 진정한 리더십을 찾.. 문화/유교문화재 2016.01.23
노자와 장자 노자와 장자 (백과사전에 찾아보니 아래와 같았다.) 노자[ 老子 ] 출생 - 사망 B.C. 570 추정 ~ B.C. 479 추정 시대 중국 춘추시대 중~전국시대 초 출생지 초(楚)나라 고현(苦縣)[현 하남성(河南省) 녹읍(鹿邑)] 저서 도덕경(道德經) 중국의 고대 춘추시대 중기부터 전국시대 초기까지 살았다. 시기.. 문화/유교문화재 2016.0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