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 學 (傳文) 4 장 <本末> 大 學 (傳文) 4 장 <本末> 子曰 聽訟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 자왈 청송이 오유인야나 필야사무송호인저하시니 공자께서 말씀하시기를 ‘송사를 처리함에 있어 나도 남과 같으나 반드시 송사가 없게 만들고자 한다’라 했다 無情者不得盡其辭 大畏民志 此謂知本 무정자부득진기사는 .. 문화/유교문화재 2016.12.30
大 學 (傳文) 3~1,2,3,4,5장 大 學 (傳文) 3~1장 詩云 邦畿千里 惟民所止 시운 방기천리여 유민소지라 하니라 詩經에 말하기를 ‘왕기 천리여~! 백성들이 머무는 곳일세’라고 하였느니라 大 學 (傳文) 3~2장<止於至善> 詩云 緡蠻黃鳥 止于丘隅 시운 민만황조여 지우구우라하야늘 시경에 말하기를 ‘예쁜 꾀꼴이가 .. 문화/유교문화재 2016.12.29
大 學 (傳文) 2~1,2,3,4장<新民> 大 學 (傳文) 2~1장<新民> 湯之盤銘曰 苟日新 日日新 又日新 탕지반명왈 구일신이어든 일일신하고 우일신이라 하며 탕왕의 반명에 말하기를 "진실로 날로 새로워지면 나날이 새로워지고 또~ 날로 새롭게 하라" 했고 盤銘~ 청동으로 만든 세숫대야에 새겨 놓은 글 湯王~ 중국 은(殷)나라.. 문화/유교문화재 2016.12.28
大 學 (傳文) 1~1,4장 大 學 (傳文) 1~1장康誥曰 克明德 강고왈 극명덕하니라 강고에 말하기를 ‘훌륭히 덕을 밝혔다’ 하였고 康誥~ 書經에 나오는 강고篇 大 學 (傳文) 1~2장 太甲曰 顧諟天之明命 태갑왈 고시천명명이라하며 태갑에 말하기를 ‘이 하늘의 밝은 명을 돌아보셨다’ 하였다 태갑~(太甲)은 商.. 문화/유교문화재 2016.12.27
經文의 종합 설명 經文의 종합 설명 근본이 어지러운 사람은 끝이 좋아지는 사람이 없으며 후덕하게 할 것에 야박하게 하고 야박하게 할 것에 후덕하게 하는 사람은 없으니 하늘을 대신한다는 天子에서 부터 일반 백성들에 이르기 까지 몸과 마음을 닦는 것을 근본으로 하는 이유는 온갖 사물의 이치를 깨.. 문화/유교문화재 2016.12.26
大 學(經文) 1~6,7장 大 學(經文) 1~6장 自天子以至於庶人 壹是皆以修身爲本 자천자이지어서인이 일시개이수신위본이니라 天子로부터 서인에 이르기까지 일체 모두 수신을 근본으로 삼는다 大 學(經文) 1~7장 其本亂而末治者否矣 其所厚者薄 而其所薄者厚 未之有也 기본난이말치자부의며 기소후자에박이오 .. 문화/유교문화재 2016.12.25
大 學(經文) 1~5 장 大 學(經文) 1~5 장 物格而后知至 知至而后意誠 意誠而后心正 心正而后身修 물격이후지지 지지이후의성 의성이후심정하고 심정이후신수하고 사물의 이치가 이른 뒤에 지식이 지극해지고 지식이 지극해진 뒤에 뜻이 성실해지고, 뜻이 성실해진 뒤에 마음이 바루어지고, 마음이 바루어진 .. 문화/유교문화재 2016.12.24
大 學(經文) 1~4 장 大 學(經文) 1~4 장 古之欲明明德於天下者 先治其國 欲治其國者 先齊其家 고지욕명명덕어천하자는 선치기국하고 욕치기국자는 선제기가하고 예로부터 올바른 덕을 천하에 밝히고자 하는 자는 먼저 그 나라를 다스리고 그 나라를 다스리려하는 자는 먼저 자신의 집안을 가지런히 하고 欲.. 문화/유교문화재 2016.12.23
大 學(經文) 1~3 장 大 學(經文) 1~3 장 物有本末 事有終始 知所先後 則近道矣 물유본말하고 사유종시하니 지소선후면 즉근도의니라 사물에는 근본과 종말이 있고 일에는 끝과 시작이 있으니 먼저 할 바와 나중에 할 바를 알면 道에 가까운 것이니라. 문화/유교문화재 2016.12.22
大 學(經文) 1~2장 大 學(經文) 1~2장 知止而后有定 定而后能靜 靜而后能安 安而后能慮 慮而后能得 지지이후유정하고 정이후능정하며 정이후능안하고 안이후능려하며 려이후능득이니라 그칠 데를 안 뒤에 정함이 있으니 정한 뒤에 능히 고요하고 고요한 뒤에 능히 편안하고 편안한 뒤에 능히 생각하고 생.. 문화/유교문화재 2016.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