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 學 (傳文) 3~1장
詩云 邦畿千里 惟民所止
시운 방기천리여 유민소지라 하니라
大 學 (傳文) 3~2장<止於至善>
詩云 緡蠻黃鳥 止于丘隅
시운 민만황조여 지우구우라하야늘
시경에 말하기를 ‘예쁜 꾀꼴이가 언덕 모퉁이에 머물렀네!’라 하였는데
子曰 於止 知其所止 可以人而不如鳥乎
자왈 어지에 지기소지로소니 가이인이불여조호아
공자는 말씀하시기를 ‘머무름에 있어 그 머무를 바를 아나니 가히 사람이라면
새 만 같지 못 할 수 있겠는가!’ 고 하셨다
大 學 (傳文) 3~3장<止於至善>
詩云 穆穆文王 於緝熙敬止 爲人君 止於仁 爲人臣 止於敬
시운 목목문왕이여 어집희경지라하니 위인군엔 지어인하시고 위인신엔 지어경하시고
시경에 말하기를
‘훌륭하신 문왕이시여! 끊임없이 밝으시어 공경함에 머무시었다.’라
하였으니 임금이 되어서는 어짊에 머무셨고 신하가 되어선 공경함에 머무셨고
爲人子 止於孝 爲人父 止於慈 與國人交 止於信
위인자엔 지어효하시고 위인부엔 지어자하시고 여국인교엔 지어신이러시다
남의 아들이 되어선 효에 머무셨고 남의 부모가 되어선 인자함에 머물렀으며
나라 사람들과 사귐에는 믿음에 머무셨던 것이다.
穆穆~언어나 용모가 아름답고 왕성한 모양
大 學 (傳文) 3~4장<止於至善>
詩云 瞻彼淇澳 菉竹猗猗 有斐君子 如切如磋 如琢如磨
시운 첨피기오한대 녹죽의의로다 유비군자여 여절여차하며 여탁여마라
시경에 말하기를
"저 기수의 굽이진 곳 바라보니 푸른 대숲 무성하네. 의젓하신 군자여
깍은 듯 다듬은 듯하며 쪼으는 듯 같은 듯 하네...
瑟兮僴兮 赫兮喧兮 有斐君子 終不可喧兮
슬혜한혜며 혁혜훤혜니 유비군자여 종불가훤혜라하니
점잖고도 위엄 있으시며 훤하고도 뚜렷하심이여~!
의젓하신 군자님을 내내 잊을 수 없도다~"라고 하셨다
大 學 (傳文) 3~5장<止於至善>
詩云 於戱 前王不忘
시운에 어희라 전왕불망이라 하니
시경에 ‘아아~!! 앞의 임금을 잊지 못하리로다!’ 하였나니
君子賢其賢而親其親 小人樂其樂而利其利 此以沒世不忘也
군자현기현이친기친하고 소인락기락이리기리하나니 차이몰세불망야니라
군자는 어진 이를 어질다 하며 친한 이를 친하게 하고 소인은 그 즐거움을 즐기고
그 이익을 얻게 하니 이로써 세상을 떠나도 잊지못하는 것이다
'문화 > 유교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 學 (傳文) 5~1,2 장 (0) | 2016.12.31 |
---|---|
大 學 (傳文) 4 장 <本末> (0) | 2016.12.30 |
大 學 (傳文) 2~1,2,3,4장<新民> (0) | 2016.12.28 |
大 學 (傳文) 1~1,4장 (0) | 2016.12.27 |
經文의 종합 설명 (0) | 2016.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