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 學 (傳文) 9~4,5 장<齊家治國> 無諸己而后非諸人 所藏乎身不恕 而能喩諸人者 未之有也 무제기이후에 비제인하나니 소장호신이 불서요 이능유제인자 미지유야니라 자기에게 그것이 없어진 뒤에야 그것을 비난한다. 몸에 간직하고 있는 바가 서가 아니면서도 그것을 남에게 깨우칠 수 있는 사람은 있지 아니한 것이 .. 문화/유교문화재 2017.01.09
大 學 (傳文) 9~3 장<齊家治國> 大 學 (傳文) 9~3 장<齊家治國> 堯舜 帥天下以仁 而民從之 桀紂 帥天下以暴 而民從之 요순이 솔천하이인하신대 이민종지하고 걸주 솔천하이폭한대 이민종지하니 요임금과 순임금이 천하를 다스림에 어질게 함으로써 백성들이 그를 따랐고 걸왕과 주왕은 천하를 다스림에 폭력으로써 .. 문화/유교문화재 2017.01.08
大學 (傳文) 9~2 장<齊家治國> 大學 (傳文) 9~2 장<齊家治國> 康誥曰 如保赤子 心誠求之 雖不中 不遠矣 未有學養子而后 嫁者也 강고에 왈 여보적자라하니 심성구지면 수불중이나 불원의니 미유학양자이후에 가자야니라 강고에 이르기를 ‘갓난아기를 보호하듯 하라’ 하였으니 마음으로 정성껏 구하면 비록 적중되.. 문화/유교문화재 2017.01.07
大 學 (傳文) 9~1 장<齊家治國> 大 學 (傳文) 9~1 장<齊家治國> 所謂治國 必先齊其家者 其家不可敎 而能敎人者 無之 소위치국이 필선제가기자는 기가를 불가교오 이능교인자 무지하니 이른바 나라를 다스림에 반드시 먼저 그 집안을 가지런히 하여야 한다는 것은 그 집안을 가르치지 못하면서 남을 가르칠 수 있는 사.. 문화/유교문화재 2017.01.06
大 學 (傳文) 8~1,2 장<脩身齊家> 大 學 (傳文) 8~1 장<脩身齊家> 所謂齊其家 在脩其身者 人之其所親愛而辟焉 之其所賤惡而辟焉 소위제기가 재수기신자는 인지기소친애이벽언하며 지기소천악이벽언하며 이른바 그 집안을 바로 잡음이 그 몸을 닦는 데 있다고 하는 것은 사람이란 그가 친하고 사랑하는 바에 비.. 문화/유교문화재 2017.01.05
大 學 (傳文) 7~2 장<正心脩身> 大 學 (傳文) 7~2 장<正心脩身> 心不在焉 視而不見 聽而不聞 食而不知其味 심불재언이면 시이불견하며 청이불문하며 식이불지기미니라 마음에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이지 않으며 들어도 들리지 않고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하나니 此謂脩身在正其心 차위수신재정기심이니라 이를 일.. 문화/유교문화재 2017.01.04
大 學 (傳文) 7~1 장<正心脩身> 大 學 (傳文) 7~1 장<正心脩身> 所謂脩身在正其心者 身有所忿懥則不得其正 소위수신재정기심자는 신유소분치즉부득기정하고 有所恐懼 則不得其正 유소공구 즉부득기정하고 이른바 몸을 닦음이 그 마음을 바르게 함에 있다는 것은 마음에 노여워하는 바가 있으면 그 바름을 얻지.. 문화/유교문화재 2017.01.03
大 學 (傳文) 6~3,4 장<誠意> 大 學 (傳文) 6~3 장<誠意> 曾子曰 十目所視 十手所指 其嚴乎 증자왈 십목소시며 십수소지니 기엄호인저 증자가 말하기를 ‘열개의 눈이 보는 바이며 열 손가락이 가리키는 바이니 그 엄숙함이여..." 大 學 (傳文) 6~4 장<誠意> 富潤屋 德潤身 心廣體胖 故 君子必誠其意 부윤옥이오 .. 문화/유교문화재 2017.01.02
大 學 (傳文) 6~1,2장 大 學 (傳文) 6~1 장<誠意> 所謂誠其意者 毋自欺也 如惡惡臭 如好好色 위성기의자는 무자기야니 여악악취하며 여호호색이 此之謂自謙 故 君子 必愼其獨也 차지위자겸이니 고로 군자는 필신기독야니라 이른바 그 뜻을 정성스럽게 한다는 것은 스스로 속이지 않는 것이니 고약한 냄새를.. 문화/유교문화재 2017.01.01
大 學 (傳文) 5~1,2 장 大 學 (傳文) 5~1 장<格物補傳> 所謂致知在格物者 言欲致吾之知 在卽物而窮其理也 소위치지재격물자는 언욕치오지지인댄 재즉물이궁기리야라 이른바 앎을 깊이 해서 사물을 구명함에 있다는 것은 나의 앎을 깊이 하면 사물에 대하여 그 이치를 궁리함에 있는 것을 말하느니라 大 學 .. 문화/유교문화재 2016.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