刎頸之交(문경지교) 刎頸之交(문경지교) : 목이 잘려도 마음이 변하지 않을 만큼 친밀한 사귐을 일컫는 말로서 깊은 우정을 뜻한다. [史記] <목마를 문><목 경><의 지><사귈 교> ☞ 인상여(藺相如)는 일개 식객에 지나지 않는 신분이었으나 조왕(趙王)이 수치를 당할 때 구해 준 공으로 상경(上..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15
巫山之夢(무산지몽) 巫山之夢(무산지몽) : 무산에서 꾼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밀회나 정교를 일컫는 말이다. <무당 무><뫼 산><의 지><꿈 몽> ☞ 옛날 선왕이 향연을 즐기다 피로해서 잠시 낮잠을 잤다. 잠이 들자 곧 아름다운 여자가 나타났다. ‘누구일까?’생각하고 있을 때 그 여자가 왕..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14
武陵桃源(무릉도원) 武陵桃源(무릉도원) : 속세와 동떨어진 별천지. 즉 사람들이 화목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이상향(理想鄕)을 말한다. <군사 무><언덕 릉><복숭아 도><근원 원> 「桃花源記」 ☞ 진태원(晉太元)때 무릉인(武陵人)이라는 사람이 물고기를 잡아 생계를 유지했는데 시내를 따..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13
毛遂自薦(모수자천) 毛遂自薦(모수자천) : 모수라는 사람이 자기 스스로를 천거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남이 추천해 주지 않으니까 기다리다 못해 스스로 자청해서 나서는 것을 말한다. 부끄러움 없이 자기를 내세우는 사람을 빗대어 쓰는 말이다. <털 모><드디어 수> <스스로 자><천거할..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12
盲人摸象(맹인모상) 盲人摸象(맹인모상) : 장님이 코끼리를 만지는 식으로 사물의 일부만을 알 면서 전체에 대한 결론을 내리는 잘못된 견해를 말한다. <소경 맹><사람 인><더듬어 찾을 모><코끼리 상> ☞ 옛날 인도의 어떤 왕이 신하들에게 명했다. “코끼리 한 마리를 끌고 오시오. 그리고 ..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11
한번도 실수가 없는 사람은 새로운 일에 한번도 시도해보지않는 사람이다. 한번도 실수가 없는 사람은 새로운 일에 한번도 시도해보지않는 사람이다. 어리석은 사람은 할 수 있는 일은 하지않고 할 수 없는 일을 하려고 애를 쓰는 사람이다. 지혜로운 사람은 할 수 없는 일은 하지않고 자기가 할 수 있는 일만 열심히 한다. 대통령탄핵은 의미가 없다. 탄핵을 권력.. 기타 /재미로 2017.04.10
麥秀之嘆(맥수지탄) 麥秀之嘆(맥수지탄) : 맥수(麥穗)란 보리가 무성하다는 뜻으로, 옛날 번영하던 도읍에 보리가 무성하게 자란 것을 보고 고국의 멸망을 탄식했다는 일화에서 비롯된 성어이다. <보리 맥><빼어날 수><의 지> <탄식할 탄> ☞ 기자(箕子)는 주왕의 도읍으로 가던 도중 은(殷)의 ..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10
故事成語란? 내편이냐. 아니냐를 따지는 것이지 옳고 그름을 따지는 것은 아니다. 故事成語란? 신화, 역사.고전속의 옛이야기에서 유래된 말을 일컫는다. 권력은 눈을 멀게하고 권력자의 눈은 보고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다. 무능한 지도자는 위기를 만들고 유능한 지도자는 위기를 극복.. 기타 /재미로 2017.04.09
馬耳東風(마이동풍) 馬耳東風(마이동풍) : 말의 귀를 스치는 동쪽 바람이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의 의견이나 충고를 전혀 듣지 않는 것을 말한다. 우이독경(牛耳讀經; 소 귀에 경 읽기)과 같은 뜻으로 쓰인다. <말 마> <귀 이> <동녘 동><바람 풍> ☞ 왕거일한야독작유회 王去一寒夜獨酌有懷 ‘..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09
登高自卑(등고자비) 登高自卑(등고자비) : 높은 곳에 오르려면 낮은 곳에서부터 올라가야 한다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지 순서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中庸」 <오를 등><높을 고><스스로 자><낮을 비> ☞ 君子之道 辟如行遠必自邇 辟如登高必自卑 詩曰 妻子好合 如鼓瑟琴 兄弟旣翕.. 기타 /교훈.훈화말 2017.0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