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 學 (傳文) 8~1 장<脩身齊家>
所謂齊其家 在脩其身者 人之其所親愛而辟焉 之其所賤惡而辟焉
소위제기가 재수기신자는 인지기소친애이벽언하며 지기소천악이벽언하며
이른바 그 집안을 바로 잡음이 그 몸을 닦는 데 있다고 하는 것은 사람이란 그가 친하고
사랑하는 바에 비유되며 그가 천하게 여기고 미워하는 바에 비유되며
之其所畏敬而辟焉 之其所哀矜而辟焉 之其所敖惰而辟焉
지기소외경이벽언하며 지기소애긍이벽언하며 지기소오타이벽언하나니
그가 애처롭고 불쌍히 여기는 바에 비유되며 그가 오만히 대하고 게을리 하는
바에 비유된다는 말이다.
故好而知其惡 惡而知其美者 天下鮮矣
고로 호이지기악하며 악이지기미자 천하에선의니라
그러므로 좋아하되 그 나쁜 점을 알아보며 미워하되 그 좋은 점을 알아보 는 사람이란
세상에 드물다
大 學 (傳文) 8~2 장<脩身齊家>
故諺有之曰 人莫知其子之惡 莫知其苗之碩
고로언에 유지하니 왈 인막지기자지악하며 막지기묘지석하니라
그래서 속담에 이런 말이 있다. ‘사람은 그 자식의 악함을 알지 못하며
곡식은 싹이 큰 줄은 알지 못한다’ 고 하니
此謂身不脩 不可以齊其家
차위신불수면 불가이제기가니라
이것은 몸을 닦지 않으면 그 집안을 바로 잡을 수 없다는 것이다
'문화 > 유교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學 (傳文) 9~2 장<齊家治國> (0) | 2017.01.07 |
---|---|
大 學 (傳文) 9~1 장<齊家治國> (0) | 2017.01.06 |
大 學 (傳文) 7~2 장<正心脩身> (0) | 2017.01.04 |
大 學 (傳文) 7~1 장<正心脩身> (0) | 2017.01.03 |
大 學 (傳文) 6~3,4 장<誠意> (0) | 2017.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