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림정사가 시작이다.
1. 일주문-가람으로 들어갈 때 첫재 문이다.
이 문을 경계로 속계와 진계로 나눈다.
2. 금강문-인왕문이라고도 하며 호법신장인 금강역사가 죄우에 있다.
인도 고래의 무기인 금강을 들고 있다.
3. 천왕문-흔히 사천왕문이라고도 한다.
동쪽에는 지국천왕. 서쪽에는 광목 천왕, 남쪽에는 증장천왕, 북쪽에는 다문천왕이
각각 상징물을 들고 있으나 일정하지 않다.
4. 해탈문-불이문이라고 하며 주불을 모신 전각 앞에 있다.
5. 범종루-범종각이라고도 하며 법고, 범종, 목어, 운판이 있다.
6, 전각은 불상을 모신 집을 말하며 불상에 따라 이름이 달라진다.
대웅전-석가모니불을 봉안하며 협시불로는 문수보살과 보현보살을 봉안하는 것이 관례이다.
대웅보전-3불상(3세불혹은 3신불)을 모셨을 때 전각 이름이다.
대적광전-비로자나불을 주불로 봉안했을 때
극락전-아마타불을 모셨을 때 (주 불당에 모셨을 때는 무량수전이라고 한다.)
약사전-약사불을 모셨을 때
관음전-관세음 보살을 모셨을 때 (절의 주 불당에 모셨을 때는 원통전이라 한다.)
명부전-지장보살을 모셨을 때
응진전-석가모니불을 주존불로 하고 가섭존자와 아난존자 를 조성하고 그 좌우에 제자 16나한을 모셔 놓은 전각
500나한을 봉안 하기도 한다. 나한전 혹은 500전이라고도 한다.
팔상전-석가모니의 일대기의 중요한 여덟 장면을 그림이나 조각으로 봉안 한 전각
도솔래의상, 비람강생상, 사문유관상, 유성출가상, 설산수도상, 수하항마상, 녹원전법상, 쌍림열반상이다.
영산전-석가모니가 영취산(영축산)에서 수많은 제자들에게 묘법연화경을 설했던 장면을 묘사한 그림인 영산회상도를 봉안해 둔 전각
칠성각-북두칠성을 모신 전각으로 치성광여래를 주존으로 칠성여래가 봉안되어있다.
도교의 칠원성군에 해당한다.
독성각-나반존자를 봉안한 전각
산신각-토속적인 산신을 그린 그림이나 조각상을 봉안한 전각
민간의 토속신앙을 받아들인 것이다.
삼성각-칠성,독성,산신을 함께 봉안한 전각
조사당-석가모니의 법을 이어 온 조사, 스님의 영정과 위패, 조각상을 모신 전각
국사전-왕의 스승이 될 만한 스님을 모신 전각
요사-위의 전각 외의 절에서 스님들의 생활에 사용하고 있는 건축물
탑- 부처님의 진신사리를 모신 무덤의 일종
등- 밝은 지혜로서 무명을 밝혀 번뇌를 씻어주는 마음의 등불을 상징한다.
석등은 불당앞에 세웠으며 흔히 우리가 절에서 볼 수 있다.
인등은 부처님의 가피를 구하려고 부처님전에 켜놓은 기원등을 말한다.
연등은 연꽃 모양으로 만들어서 주로 부처님 오신 날에 켜는 등을 말한다.
당간-당(깃발)을 매어 두는 깃대이다.
당간은 잘 볼 수 없고 당간지주(당간을 받치는 대)는 많이 남아 있다.
부도-수행공덕이 높은 스님들의 사리나 유골을 모신 조형물
탱화-종이나 천 등에 부처님이나 보살 또는 신장의 모습을 그려서 벽면에 걸도록 만들어진 족자
괘불-탱화의 일종으로 법당 밖에서 불교 의식을 행할 때 불단을 대신하는 대형 불화
신중단-불법을 보호하는 호법 선신들을 봉안해 둔 단
불당 안에서 불보살을 모신 불단의 왼쪽이나 오른쪽에 별도의 단을 마련하고 탱화형식의 그림을 걸어놓고 예배를 올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