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8월 22일 화요일
안동사범재구 11회동기모임에서 답사
대형버스를 전세내어 반월당 현대백화점앞에서 8시 30분에 출발하였다.
오어사 입구에들어서니 이미 차들이 밀려 대형차로는 간시히 들어갔으나 나올때는 더욱 차들이 많아서 나오는데 몇번이나 멈추어서 길에 세워놓은 차들에게 연락하여 차를 빼게하여서야 나올수 있었다. 휴일도 아닌데 왠 사람들이 이렇게 많은지...
전에 몇 번을 와 보았으나 오늘처럼 복잡하지는 않았었는데...
백과사전에서 찾아보았더니
대한불교조계종 11교구 본사인 불국사의 말사이다. 신라 진평왕 때 창건하여 항사사(恒沙寺)라 하였다.
그 뒤 신라 고승 원효(元曉)와 혜공(惠空)이 함께 이곳의 계곡에서 고기를 잡아먹고 방변(放便)하였더니 고기 두마리가 나와서 한마리는 물을 거슬러올라가고 한마리는 아래로 내려갔는데, 올라가는 고기를 보고 서로 자기 고기라고 하였다는 설화에 의하여 오어사라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
그러나 창건 이후의 역사는 전래되지 않고 있다. 다만, 유적에 의하면 자장(慈藏)과 혜공·원효·의상(義湘)의 네 조사(祖師)가 이 절과 큰 인연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즉, 절의 북쪽에 자장암과 혜공암, 남쪽에 원효암, 서쪽에 의상암 등의 수행처가 있었으므로 이들 네 조사의 행적과 연관짓고 있다.
현존하는 당우로는 대웅전을 중심으로 나한전(羅漢殿)·설선당(說禪堂)·칠성각·산령각 등이 있다. 이 중 대웅전을 제외한 당우들은 모두 최근에 건립된 것이다. 이 절의 대표적인 유물로는 대웅전 안에 보관되어 있는 원효대사의 삿갓이다.
지극히 정교하게 만들어진 이 삿갓의 높이는 1척이고 지름은 약 1.5척이다. 뒷부분은 거의 삭아버렸지만 겹겹으로 붙인 한지에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이 삿갓은 마치 실오라기 같은 풀뿌리를 소재로 하여 짠 보기 드문 것이다.
이 밖에도 절내에는 불계비문(佛契 碑文)·염불계비문(念佛契碑文)·운제산단월발원비문(雲梯山檀越發願碑文) 등과 부도가 있다. 현존하는 부속암자로는 자장암과 원효암이 있으며, 오어사 앞의 저수지와 홍계폭포, 기암절벽 등의 경치는 일품이다.
일주문이라고 소개를 하였는데 내가 보니 금강문이었다. 금강역사의 그림이 있다.
아마 일주문 겸용인가보다 현판은 일주문 현판인데 문짝에 금강역사의 그림이 있으니 말이다.
단체 사진
고려동종
유두가 떨어져 나간 곳도 있었다.
새로 만든 해수관음보살상
무슨 건물인가 또 짓고 있다. 크고 많으면 좋은 줄 아는데...절의 본맛이 없어지는 것은 생각하지 않는지...
원효암을 찾아가는 산길
출렁다리
'오작교의 행보 > 내가 한일 할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문가에게... (0) | 2017.08.29 |
---|---|
호미곶에서 연오랑과 세오녀까지 (0) | 2017.08.25 |
정신이 점점 없어지는 것 같다. (0) | 2017.08.10 |
작은 화분에서 큰 화분으로 (0) | 2017.07.31 |
농담을 진담으로... (0) | 2017.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