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교문화재

明心寶鑑 103

吳鵲橋 2016. 9. 9. 07:19


看君晨入市, 買餠又買餻, 少聞供父母, 多說供兒曹, 親未啖兒先飽, 子心

不比親心好, 勸君多出買餠錢, 供養白頭光陰少  

 

간군신입시, 매병우매고, 소문공부모, 다설공아조, 친미담아선포, 자심

불비친심호, 권군다출매병전, 공양백두광음소。  

 

 

 

그대가 새벽에 시장에 들어가서 떡을 사고 또 흰떡을 사는 것은 보았으되, 부모에게 드린다는 것은 별로 듣지

못했고, 자식들에게 준다고들 많이 말한다. 어버이는 아직 먹지도 아니 하였는데 아이가 먼저 배 부르니, (

양하는) 자식의 마음은 (늙으신) 부모 마음이 좋아하는 것에 비하지 못하는도다.그대에게 권하노니, 떡 살 돈

을 많이 내서 늙은 어버이를 잘 공양(供養)하라. 세월은 길지 않으니... 

 

 

 

(字義  

 

은 새벽 신     

은 떡 병  

는 흰떡 고  

+명사구(): ~이 적다 

 

은 바칠 공  

 

은 먹을 담  

 

는 견줄 비. 비할 비  

 

은 타동사로 ~을 내다  

 

供養은 음식을 잘 갖춰 대접한다는 뜻이다  

 

光陰은 시간, 세월의 뜻.

 

 

 

 

市間賣藥肆, 惟有肥兒丸, 未有壯親者, 何故兩般看, 兒亦病親亦病, 醫兒

不比醫親症, 割股還是親的肉, 勸君亟保雙親命  

 

시간매약사, 유유비아환, 미유장친자, 하고양반간, 아역병친역병, 의아

불비의친증, 할고환시친적육, 권군극보쌍친명。  

 

 

 

시장에 있는 약 파는 가게에는 오직 아이를 살찌게 하는 약은 있으되, 어버이를 튼튼하게 하는 약은 없으니

무슨 까닭으로 이 두가지를 보는고? 아이도 병들고 어버이도 병들기는 마찬가지이거늘 아이의 병을 고치는

것이 어버이의 병을 고치는 것에 비하지 못하는구나. 넓적 다리를 베더라도 도로 어버이의 살이로세. 그대에

게 권하노니 빨리 두 어버이의 목숨을 보전하라.

 

 

 

 

(字義 

 

는 가게 사. 저자 사     

은 알 환  

 

는 것 자  

 

壯親者는 어버이의 몸을 튼튼하게 하는 것. 튼튼하게 하는 약  

 

는 까닭 고  

 

은 가지 반 

 

은 병 증. ?痛症(통증).   

 

(넓적)다리 고  

 

은 부사로 도리어의 뜻. 還是~~: 도리어 ~~이다 

 

은 주로 구어체에서 쓰이는 관형격 조사이다. , “와 뜻이 같다. 우리말로는 “~의 뜻이다.

 

 

割股還是親的肉: 옛날 효자들 중에는 어버이의 꺼져가는 생명을 되살리기 위해 자신의 넓적 다리 살을 베

어 먹이게 했다는 일이 많이 있다. 여기서도 그런 예를 들어서 정녕 어버이를 위해 약을 사드릴 돈이 없다면

자신의 다리를 베어서라도 어버이의 몸을 보호해 드릴 수 있지 않겠느냐는 뜻에서 한 말이다. 또한 자신의 다

리를 베더라도 이는 또한 어버이가 자신에게 물려준 몸이니 도로 어버이의 살이라는 뜻이다.

 

 

은 빠를 극. 주로 부사로 쓰인다. , “빨리의 뜻이다.

 

 

은 목숨 명.

 

 

 


'문화 > 유교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105  (0) 2016.09.11
明心寶鑑 104  (0) 2016.09.10
明心寶鑑 102  (0) 2016.09.08
明心寶鑑 101  (0) 2016.09.05
明心寶鑑 100  (0) 2016.09.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