安義篇
유가(儒家)에 관한 책을 보면, 흔히 의(義)를 의(宜)로 보아 마땅함을 뜻하는 단어로도 보았다. 즉 사람으로서의 마땅한 도리를 지키는 것이 바로 의(義)인 것이다. 그런 맥락에서 의(義)는 한편으로 가족간에 맺어지는 끈끈한 유대 관계를 뜻하는 말로도 통하였다. 아랫 글에서도 이런 의미로 가족간의 의(義)를 강조하고 있다. 각종 패륜적인 사건이 잦아지는 요즘 한번쯤 되새겨 볼만한 글자이다. 바로 의(義)란 글자를!
顔氏家訓에 曰 夫有人民而後에 有夫婦하고 有夫婦而後애 有父子하고 有父子而後에 有兄弟하니 一家之親은 此三者而已矣요 自玆以往으로 至于九族히 皆本於三親焉이라 故로 於人倫에 爲重也이니 不可無篤이니라
안씨가훈에 曰 부유인민이후에 유부부하고 유부부이후애 유부자하고 유부자이후에 유형제하니 일가지친은 차삼자이이의요 자자이왕으로 지우구족히 개본어삼친언이라 故로 어인륜에 위중야이니 불가무독이니라
안씨 가훈에 이르기를, 대저 백성이 있은 뒤에 부부가 있고, 부부가 있은 뒤에 부자가 있고, 부자가 있은 뒤에 형제가 있나니, 일가의 친함은 이 세 가지일 뿐이니라. 이로부터 구족(九族)에 이르기까지 모두 이 삼친(三親)에 근본을 두느니라. 그러므로 인륜에 있어서 중요한 것이 되니 돈독함이 없어서는 안되느니라.
(字義)
○夫는 대저 부. 대개 말을 시작하거나, 문단을 바꿀 때 발어사(發語詞)로 쓰인다. 즉, 뜻이 있는 글자가 아니고, 말을 꺼내거나 또는 문단을 바꿀 때 그냥 길게 소리를 빼어 읽는 것이다.
○~而後+술어~: “~하고 난 뒤에 ~한다”는 뜻으로 잘 쓰이는 구문이다.
○~而已矣에서 而는 앞 글을 뒷 글에 이어주는 역할을 하고, 已는 그칠 이. 의역하면, “뿐 이, 따름 이”의 뜻이고, 矣는 단정적으로 말을 마칠 때 쓰는 어조사이다. “~而已矣”는 자주 쓰이는 표현으로 “~일 뿐이다. ~일 따름이다”의 뜻이다.
○自玆以往에서 自는 “~로 부터”의 뜻이고, 玆는 이 자. 以往은 以來와 같다.
○本은 여기서는 술어로 쓰였다.
○焉(언)은 술어와 붙어서(술어+焉) 그 대상을(목적어를) 내포하기도 하고, 또는 단순히 처소격의 의미를 갖는 종결형 어조사로 쓰인다. 특히 문장 가운데에 처소격 어조사인 於가 있을 때는 이 焉으로 말을 끝맺기 마련이다.
○不可+술어: ~하는 것은 불가(不可)하다. ~할 수 없다. ~해서는 안된다.
○구족(九族)이란 고조, 증조, 조부, 부, 자기, 아들, 손자, 증손, 현손의 직계친을 말한다. 삼친(三親)은 위 글에도 나오듯이 부부, 부자, 형제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