景行錄에 云 觀朝夕之早晏하여 可以卜人家之興替니라
경행록에 云 관조석지조안하여 가이복인가지흥체니라
경행록에 이르기를,
아침 저녁의 이르고 늦음을 관찰하면 그 집안의 흥하고 쇠함을 점칠 수 있느니라.
(字義)
○早는 이를 조.
○晏은 늦을 안.
○可以는 한 단어로 “~할 수 있다”의 뜻이다.
○卜은 점 복. 점칠 복.
○替는 ①대신할 체. ②폐(廢)할 체.
현대에는 주로 ①의 뜻으로만 쓰이나, 한문에서는 ②의 뜻으로도 잘 쓰였다.
○興替(흥체)는 한 단어로 흥하고 쇠함을 뜻한다.
文仲子 曰 婚娶而論財는 夷虜之道也이니라
문중자 曰 혼취이논재는 이로지도야이니라
문중자가 말하였다.
혼인하고 장가드는데 있어서
재물을 논하는 것은 오랑캐들의 도리이니라.
(字義)
○문중자는 수(隋)나라때의 학자.
○婚은 혼인 혼.
○娶는 장가들 취.
○而는 앞 글과 뒷글을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처럼 앞글이 반드시 절(絶)일 필요는 없다.
而의 앞 글이 명사구나 부사, 술어 등이 올 수도 있다.
○虜는 오랑캐 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