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교문화재

明心寶鑑 87

吳鵲橋 2016. 8. 22. 07:21


遵禮篇  

 

예절은 더불어 사는 인간 사회에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이지만, 그러나 너무 지나치면 오히려 경직된 분위기로 흐르기 쉽고 또한 자칫하면 예절의 근본 정신을 망각하고 형식적인 것만 쫓는 경향도 낳는다. 이러한 폐단은 옛부터 있어온 듯하다. 유자(有子)예절을 적용함에는 조화를 이루는 것이 중요하다”(禮之用, 和爲貴)라고 하였고, 공자(孔子)예절이란 사치스럽기 보다는 차라리 검소한 것이다”(禮與其奢也, 寧儉也)라고 하였으니, 예절이 폐단으로 흐르지 않고 실제 생활에 적용되기가 그리 쉽지 않음을 두고 한 말씀일 것이다.

 

 

子曰, 居家有禮故長幼辨하고 閨門有禮故三族和하고 朝廷有禮故官爵序하고 田獵有禮故戎事閑하고 軍旅有禮故武功成이니라   

자왈, 거가유례고로 장유변하고 규문유례고로 삼족화하고 조정유례고로 관작서하고 전렵유례고로 융사한하고 군여유례고로 무공성이니라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집안에 거처함에 예()가 있는 까닭에 어른과 아이는 분별이 있고, 규문(閨門)에 예가 있는 까닭에 삼족(三族)이 화목하고, 조정에 예가 있는 까닭에 관작(官爵)에 차례가 있으며, 전렵(田獵)에 예가 있는 까닭에 군사일이 익숙해지며, 군대에 예가 있는 까닭에 무공(武功)이 이루어지느니라  

 

(字義  

5.3 5.3으로 끊어 읽는다  

은 분별할 변  

는 안방 규  

閨門은 아녀자들이 거처하는 곳을 말한다  

은 벼슬 작  

는 차례 서  

은 사냥할 렵. ?狩獵(수렵), 獵奇的(엽기적).   

은 군사 융  

한가할 한. 익숙할 한. 여기서는 의 뜻이다  

물론 현대에는 의 뜻으로만 쓰이고, 의 뜻으로는 쓰이지 않는다  

나그네 려. 군사 려. ?旅團(여단).

 


'문화 > 유교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89  (0) 2016.08.24
明心寶鑑 88  (0) 2016.08.23
明心寶鑑 86  (0) 2016.08.21
明心寶鑑 85  (0) 2016.08.20
明心寶鑑 84  (0) 2016.0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