訓子篇
학문의 중요성에 관한 글귀를 실은 근학편에 이어서, 이 편에서는 자식 교육에 관한 글들을 담고 있다. 예나 지금이나 자식 교육의 중요성은 변함이 없으나 그 내용과 방식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이 편을 통해서 다소 살펴볼 수 있다.
景行錄云, 賓客不來, 門戶俗。詩書無敎, 子孫愚。
경행록운, 빈객불래, 문호속。시서무교, 자손우。
경행록에 이르기를, 빈객(손님)이 찾아 오지 않으면 집안이 비속해지고,
시서를(시경과 서경을) 가르치지 아니하면 자손이 어리석어지느니라.
(字義)
○門戶는 지금도 자주 쓰이는 단어이다.
예)문호(門戶)를 개방하다. 戶는 지게 호. “지게”는 마루에서 방으로 드나드는 곳에 안팎을 두꺼운 종이로 바른 외짝문을 뜻한다.
즉, 門은 집으로 들어서는 대문이나 집안 내에서 드나드는 나무짝 문들을 가리키고,
戶는 방문들을 가리키는 것으로서 비유적으로 집안을 뜻한다.
○詩는 詩經을, 書는 書經을 뜻한다.
○愚는 어리석을 우.
莊子曰, 事雖小나 不作이면 不成이오
子雖賢이나 不敎면 不明이니라
장자曰, 사수소나 부작이면 불성이오
자수현이나 불교면 불명이니라
장자께서 말씀하셨다.
일이 비록 작더라도 하지 않으면 이루어지지 아니하고,
자식이 비록 어질지라도 가르치지 아니하면
현명해지지 못하느니라.
(字義)
○雖는 비록 수. 일반적으로 雖앞에다가 주어를 쓴다.
즉 雖事小라고 영어식으로 쓰지 않는다.
예외적으로 쓰는 경우도 있지만.
○賢은 어질 현.
어질다는 것은 착하고 순박하다는 뜻이 아니라,
현명하다는 뜻이다.
예)賢明(현명).
漢書에 云 黃金滿籯이 不如敎子一經이오
賜子千金이 不如敎子一藝니라
한서에 云 황금만영이 불여교자일경이오
사자천금이 불여교자일예니라
황금이 상자에 가득찬 것은
자식에게 한 권의 책을 가르치는 것만 못하고,
자식에게 천금을 주는 것은
자식에게 한 가지 재주를 가르치는 것만 못하느니라.
(字義)
○滿은 ~에 가득차다.
예)金玉滿堂(금옥만당).
○籯은 상자 영.
○經은 책 경.
예)聖經(성경), 佛經(불경), 經書(경서).
○藝는 재주 예.
○不如+서술절:~하는 것만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