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교훈.훈화말

낙양지가

吳鵲橋 2016. 12. 15. 05:45

 

낙양(洛陽)의 종이(紙)(價)
글이나 책이 많이 팔림.
중국 진(晉)나라 때 문장가 좌사(左思)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못생긴 데에다 말까지 더듬었지만, 일단 붓을 잡으면 웅장하고 화려한 시를 썼다. 그는 『삼도부(三都賦)』를 10년만에 완성하였으나 알아주는 사람이 없었다. 그러던 중 당시의 유명한 문장가인 장화(張華)가 매우 칭찬을 하자 당장 낙양의 화제작이 되었고, 고관대작은 물론 귀족 환관 문인 부호들이 그것을 다투어 베꼈다. 그 바람에 낙양의 종이 값이 마구 올랐다.

<더 상세한 내용>


낙양지가(洛陽紙價)

:물 이름 락. :볕 양. :종이 지. 價:값가.

                         '낙양의 지가를 올리다'하는 뜻. 곧 저서가 호평을 받아 베스트 셀러가 됨

(:265316)나라 시대, ()나라의 도읍 임치(臨淄) 출신의 시인에 좌사(左思)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선비의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인 좌옹도 하급관리에서 몸을 일으켜, 그의 학문이 팔려서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로 발탁된 사람이다.

그는 뛰어난 문재(文才)를 지니고 태어났지만, 용모가 추할 뿐 아니라 태어나면서부터 말을 더듬었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접촉을 싫어하고, 집에 들어박혀 창작에 열중하며 매일을 보내고 있었다.
이렇게 하여 1년 동안 걸려서 제나라의 도읍이었던 임치의 모습을 운문(韻文)으로 엮은 제도지부(齊都之賦)를 쓰고, 이어서 삼국시대 촉한의 도읍인 성도(成都)와 오나라의 도읍인 건업(建業)과 위나라의 도읍인 업을 노래한 삼도지부(三都之賦)을 지었다.

삼도지부의 평판은 별로 대단한 것은 아니었다.
"나의 작품은 반고(班固)의 이도지부(二都之賦)나 장형(張衡)의 이경지부(二京之賦)에 비하여 결코 월등한 것은 아니다" 이렇게 자부하고 있던 그는 자기의 작품을 끌어안고 황보밀의 문을 두드렸다. 

황보밀은 무제의 자주 있었던 벼슬 요청에도 응하지 않고, 농사를 지으면서 수많은 작품을 발표하고 있던 재야의 석학(碩學)으로 현안선생(玄晏先生)이라고 널리 알려진 사람이었다.
황보밀은 그 글을 한 번 읽고서, "이것은 멋진 글이군!"하고서, 그 자리에서 서문을 써 주었다. 다시 장재(張載)가 위도지부(魏都之賦)에, 중서랑인 유달이 오도지부(吳都之賦)와 촉도지부(蜀都之賦)에 주를 다는 등 마음에 있는 사람들로부터 그 진가를 인정받게 되었거니와 그 이름을 결정한 것은 사공(司空) 벼슬에 있는 장화(張華)가 절찬하는 말이었다.

"이 작품은 정말로 반고나 장형의 작품과 어깨를 겨룰 만하다. 다 읽고 나면 독자로 하여금 여운이 요요하고 날이 갈수록 다시 감명을 새롭게 함을 깨닫게 하는 바가 있다."

이 말을 전해지자《삼도부》는 당장 낙양의 화제작이 되었고, 고관대작은 물론 귀족 환관 문인 부호들이 그것을 다투어 베껴 썼다. 그 바람에 '낙양의 종이값이 올랐다[洛陽紙價貴]'고 한다
.

'기타 > 교훈.훈화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錦上添花(금상첨화)   (0) 2017.03.18
무릉도원  (0) 2016.12.16
군계일학  (0) 2016.12.14
거짓말도 때로는 해야한다.  (0) 2016.12.11
터널에서 운전 조심  (0) 2016.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