治家篇
치가편에서는 집안을 다스리는 법에 대한 글들이 실려 있다. 핵가족으로 변한 현대에 있어서 가족의 개념은 옛날보다도 더 중요시 되어야 하겠건만, 오히려 그렇지 못하니 안타까운 일이다. 아래 편(篇)을 통해서 옛사람들의 치가론(治家論)을 들어보도록 하자.
司馬溫公 曰 凡諸卑幼는 事無大小히 毋得專行하고 必咨稟於家長이니라
사마온공 曰 범제비유는 사무대소히 무득전행하고 필자품어가장이니라
사마온 공이 말하였다. 무릇 지위가 낮고 어린 모든 사람들은 일이 크건 작건 구별없이 제멋대로 행할 수 없으며, 반드시 집안의 어른께 묻고 여쭈어야 할 것이다.
(字義)
○凡은 ①무릇 범. ②모든 범. ③범상할 범.
○諸는 주로 한정어로 “모든 제”의 뜻이다.
○卑는 낮을 비.
○毋(무)는 금지사.
○專은 오로지 전. 크게 두가지의 뜻으로 쓰인다. 하나는 “오로지 ~만 한다”는 뜻이고, 또 하나는 “제 멋대로, 독단으로 ~한다”는 뜻이다. ?專攻(전공), 專業(전업)/ 專制政治(전제정치), 專斷(전단). 위에서는 후자의 뜻으로 쓰였다.
○咨는 물을 자. 諮와 통한다.
○稟은 품할(묻는다는 뜻이다) 품.
待客엔 不得不豊이요 治家엔 不得不儉이라
대객엔 부득불풍이요 치가엔 부득불검이라
손님을 대접할 때는 풍성하게 하지 않을 수 없으며, 집안을 다스림에는 검소하지 않을 수 없느니라.
(字義)
○待는 ①기다릴 대. ?期待(기대), 待期(대기). ②대할 대. ?接待(접대), 歡待(환대).
○得다음에 술어가 오면 “~할 수 있다”의 뜻이다.
○不得不+술어: ~하지 않을 수 없다. 부득불 ~해야 한다. 不可不과 비슷한 뜻이다.
太公 曰 痴人은 畏婦하고 賢女는 敬夫니라
태공 曰 치인은 외부하고 현녀는 경부니라
태공이 말하였다.
어리석은 사람은 아내를 두려워하고,
어진 여자는 남편을 공경하느니라.
(字義)
○痴는 어리석을 치.
○敬은 ①공경할 경. ②삼갈 경. 조심할 경.
여기서는 ①의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