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교문화재

明心寶鑑 56

吳鵲橋 2016. 7. 20. 07:32


王良曰   

欲知其君커든 先視其臣하고   

欲知其人커든 先視其友하고   

欲知其父커든 先視其子하라   

君聖臣忠하고 父慈子孝니라 

 

왕량이 曰   

욕지기군커든 선시기신하고   

욕지기인커든 선시기우하고   

욕지기부커든 선시기자하라   

군성신충하고 부자자효니라  

 

왕량이 말하였다  

그 임금을 알려면 먼저 그의 신하를 보고  

그 사람을 알려면 먼저 그의 친구를 볼 것이며  

그 아비를 알려면 먼저 그의 자식을 보라  

임금이 거룩하면 신하는 충성스러울 것이요  

아비가 자애로우면 아들은 효성스러운 법이니...   

 

(字義  

왕량은 명()나라 사람  

세 개의 댓구문에서 첫번째 (지시 형용사)는   

영어의 thethat에 해당하고  

두번째 (소유격 대명사)는   

his에 해당하는 것으로 봄이 문맥상 매끄럽다  

 

家語云   

水至淸則無魚하고 人至察則無徒니라  

가어에 云   

수지청칙무어하고 인지찰칙무도니라   

 

가어에 이르기를  

물이 너무 맑으면 고기가 없고  

사람이 너무 살피면 따르는 무리가 없느니라  

 

(字義  

家語孔子家語라는 책이름을 가리킨다  

공자의 언행이 기록되어 있지만   

위작(僞作)이라는 것이 거의 정설이다  

는 술어로는 이를 지  

한정어로는 (명사나 술어를 한정할 때는)  

지극한, 지극히의 뜻이다  

?至論(지론), 至誠(지성), 至難(지난), 至高至順(지고지순).   

무리 도. 한갓 도.


'문화 > 유교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58  (0) 2016.07.22
明心寶鑑 57  (0) 2016.07.21
明心寶鑑 55  (0) 2016.07.19
明心寶鑑 54  (0) 2016.07.18
明心寶鑑 53  (0) 2016.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