勤學篇
근학편은 학문의 중요성을 들어 이에 힘쓸 것을 강조한 글귀들이 실려 있다.
사람으로서의 올바른 도리를 알고, 교묘하고 간사한 인간 세상을 미혹되지 않고 살아가는 방법이 학문에 있음이야 두 말할 나위도 없다.
이는 현대에 있어서도 변치 않는 진리이다.
그러나 그 학문의 내용을 옛 선현들과 비교해 봄에
현대의 학문과 어찌 이리도 현격한가?
子夏 曰, 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矣。
자하 曰, 박학이독지, 절문이근사, 인재기중의。
자하께서 말씀하였다.
널리 배워서 뜻을 두터히 하고, 묻기를 절실히 하여 생각을
가까이 하면 인(仁)은 그러한 가운데에 있느니라.
(字義)
○子夏는 孔子의 제자.
○博은 넓을 박.
○篤은 두터울 독.
○切은 ①끊을 절. ②간절할 절. 절실할 절.
○A+在+B= A가 B에 있다.
○矣는 종결형 어조사.
○참고로 위 글귀를 제가 가지고 있는 책은 孔子의 말씀으로 되어 있으나, 이 글귀는 논어의 “子張篇”에 보이므로 子夏의 말씀으로 바꾸었다.
莊子 曰, 人之不學이면 若登天而無術하고
學而智遠이면 若披祥雲而覩靑天하고
如登高山而望四海이니라
장자 曰, 인지불학이면 약등천이무술하고
학이지원이면 약피상운이도청천하고
여등고산이망사해이니라
장자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의 배우지 아니함은(사람이 배우지 않는 것은) 마치 하늘을
오르는데 아무런 재주도 없는 것과 같으며,
배워서 지혜가 심원해지는 것은 마치 상서로운 구름을 헤치고
푸른 하늘을 보는 것과 같아서,
마치 높은 산에 올라가 사해(四海)를 내려다 보는 것과 같느니라.
(字義)
○人之不學에서 之는 관형격 조사이다.
단, 위 문장에서는 우리말로 해석할 때 관형격 조사로 하면
어색하므로 주격 조사로 의역해주는 것이 좋다.
또는 어떤이는 之를 직접 주격 조사로 보기도 하는데
제 개인적인 생각에는 之가 주격 조사라기 보다는 관형격
조사이며, 단지 우리말로 옮길 때 관형격으로 해석하면 어색할
경우가 종종 있을 뿐이며, 이럴 때 단지 之를 주격으로 의역해준 것에 불과하다고 본다.
○若은 ①만약 ~한다면(if), 만약 ~하더라도(even if) ②~와 같다. ○披는 헤칠 피.
○覩는 볼 도. 睹와 같은 글자이다. 예)目睹(목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