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교문화재

明心寶鑑 31

吳鵲橋 2016. 6. 24. 06:41


禮記曰   

玉不琢이면 不成器하고   

人不學이면 不知義니라  

예기에 曰   

옥불탁이면 불성기하고   

인불학이면 부지의니라  

 

예기에 이르기를  

옥은 쪼지 아니하면 그릇이 되지 못하고   

사람은 배우지 아니하면 의()를 알지 못하느니라  

 

(字義  

()쪼을 탁  

成器그릇을 이루다”   

, “그릇이 되다는 뜻이다.

 

太公 曰,

人生不學이면 冥冥如夜行이니라  

태공 ,

인생불학이면 명명여야행이니라   

 

태공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살면서 배우지 아니하면

어둡고 어두워 마치 밤에 길을 다니는 것과 같느니라  

 

(字義)

은 어두울 명.

)冥福(명복)을 빌다.

이때 은 저승을 비유한 것이다.

 

韓文公 曰, 人不通古今이면 馬牛而襟裾이니라   

한문공 , 인불통고금이면 마우이금거이니라  

 

한 문공께서 말씀하셨다  

사람이 고금(古今)에 통달하지 못하면   

말이나 소에게 옷을 입힌 것과 같으니라  

 

(字義  

는 두 문귀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의 앞 문귀는 단순히 명사구나 술어가 올 수도 있다  

은 옷깃 금  

는 옷자락 거 

여기서 금거(襟裾)는 술어로 쓰였다.

 


'문화 > 유교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33  (0) 2016.06.26
明心寶鑑 32  (0) 2016.06.25
明心寶鑑 30  (0) 2016.06.23
明心寶鑑 29  (0) 2016.06.22
明心寶鑑 28  (0) 2016.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