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교문화재

明心寶鑑 26

吳鵲橋 2016. 6. 19. 05:27


戒性篇

 

계성편은 편명(篇名) 그대로 성품을 경계하도록 하는 경구들이 실려 있다 

주로 자신의 감정을 직설적으로 표출시키지 말고 자제할 것을 당부한다  

그 덕목 중의 하나가 바로 참을성()인데 여기 저기서 치이고 부대끼는   

우리들로서야 어디 그게 말처럼 쉬운 일이겠는가  

특히 제멋대로 사는게 개성인 현대에 있어서랴  

 

景行錄云 人性如水하여 水一傾則不可復이오   

性一縱則不可反이니 制水者必以堤防하고   

制性者必以禮法이니라  

경행록에 인성에 여수하여 수일경칙불가복이오   

성일종칙불가반이니 제수자는 필이제방하고   

제성자는 필이예법이니라   

 

경행록에 이르기를, 사람의 성품은 물과 같아서   

물이 한 번 기울면 다시 주어 담을 수 없듯이 성품도 한 번 놓으면(방종해지면  

되돌릴 수 없느니라  

물을 잡으려는 사람은 반드시 제방(堤防)으로 할 것이요  

성품을 잡으려는 사람은 반드시 예법(禮法)으로 하여야 할 것이다  

 

(字義  

은 기울 경  

)傾向(경향), 傾斜(경사).   

앞의 문구는 가정으로 해석한다  

~하면(if), ~할지라도(even if) 여기서는 문맥에 따라 의 뜻이다  

不可+술어; ~할 수 없다, ~하는 것은 불가(不可)하다, ~해서는 안된다  

은 회복할 복  

은 놓을 종, 방종할 종  

는 잡을 제. 누를 제. 여기서 뜻이 파생되어 통제(統制)하다  

제어(制御)하다. 억제(抑制)하다의 뜻이 있다  

위의 문구에서도 그 파생된 뜻으로 여기면 된다  

는 둑 제  

)堤防(제방).

 

忍一時之氣이면 免百日之憂이니라  

인일시지기이면 면백일지우이니라   

得忍且忍하고 得戒且戒하라  

득인차인하고 득계차계하라   

不忍不戒小事成大니라  

불인불계면 소사성대니라      

 

일시적인 기분을 참으면 백일의 근심을 면하느니라  

참을 수 있으면 또 참고, 경계할 수 있으면 또 경계하라  

참지 않고, 경계하지 않으면 작은 일도 크게 된다    

      

(字義  

○①+명사(): ~을 얻다  

+술어:~할 수 있다  

이 때 가능의 뜻으로 조동사가 된다.

 


'문화 > 유교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明心寶鑑 28  (0) 2016.06.21
明心寶鑑 27  (0) 2016.06.20
명심보감 25  (0) 2016.06.18
明心寶鑑 24  (0) 2016.06.17
明心寶鑑 23  (0) 2016.0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