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교문화재

明心寶鑑 23

吳鵲橋 2016. 6. 16. 07:43


人無百歲人이나 枉作千年計니라  

인무백세인이나 왕작천년계니라  

 

사람 중에는 백세를 사는 사람이 없건만은   

천년의 계교를 헛되이 짓는구나 

 

(字義  

은 굽을 왕. 여기서는 부사로 쓰여다  

는 계교 계. 꾀 계  

)計劃(계획).   

 

寇萊公六悔銘에게 云 官行私曲失時悔요   

富不儉用貧時悔藝不少學過時悔요   

見事不學用時悔醉後狂言醒時悔요   

安不將息病時悔니라   

구래공육회명에게 운 관행사곡실시회요   

부불검용빈시회요 예불소학과시회요   

견사불학용시회요 취후광언성시회요   

안불장식병시회니라   

 

구래 공의 육회명에 이르기를, 벼슬자리에 있을 때 사사롭고   

굽은 일을 행하면 (벼슬자리를) 잃었을때 뉘우칠 것이요  

부유할 때 씀씀이를 검소히 하지 않으면 가난해질 때 뉘우칠   

것이고, 재주가 있으나 어려서 배우지 아니하면 때가 지났을   

때 뉘우칠 것이요, 일을 보고 배우지 아니하면 쓸 때 뉘우칠   

것이며, 술에 취한 후 함부로 말하면 술이 깰 때 후회할 것이고  

몸이 편안할 때 조심하지 않으면 병이 들었을 때 후회하리라  

 

(字義  

이 육회명(여섯가지 후회를 담은 글)7언의 댓구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7언의 경우에는 대개 4.3 4.3으로 끊어 읽는다. 이런 규칙을 알아야 해석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미 살펴보았듯이 5언의 경우에는 2.3 2.3으로 끊는다 

 

은 벼슬 관  

는 재주 예  

(나이가) 어릴 소 (+명사구) 적을 소  

(부사) 조금 소  

여기서는 의 뜻으로 나이가 어리다는 뜻이다  

위의 문장은 의 뜻으로도 해석될 수 있다  

, “재주가 있어도 조금도 배우지 아니하면이라고 해도 된다.  

그러나 뒤에 過時”(지났을 때)란 말과 호응이 좋지 못하므로   

의 뜻으로 쓴 듯하다  

은 깰 성. )覺醒(각성).   

술어+; ~할 때.(when~)   

 

益智書云 寧無事而家貧이언정 莫有事而家富요   

寧無事而住茅屋이언정 莫有事而住金屋이요   

寧無病而食麤飯이언정 不有病而服良藥이니라  

익지서에 녕무사이가빈이언정 막유사이가부요   

녕무사이주모옥이언정 막유사이주금옥이요   

녕무병이식추반이언정 불유병이복량약이니라   

 

익지서에 이르기를, 차라리 아무 일 없이 집이 가난할지언정 사고가   

있으면서 집이 부유하게 하지는 말 것이요, 차라리 아무 일 없이   

띠로 지은 집에 살망정 사고가 있으면서 금으로 된 집에 살지 말   

것이며, 차라리 병이 없으면서 성긴 밥을 먹을지언정 병이 있으면서   

좋은 약을 먹을 일이 아니로다  

 

(字義  

안녕 녕 차라리 녕. 여기서는 의 뜻으로 쓰였다  

은 금지사로 쓰였다. 마지막 귀절의 도 금지사로 쓰였다  

는 띠 모. “는 길쭉한 풀이름  

는 성길 추. 거칠 추  

“~을 복용(服用)하다는 뜻이다  

그 외에 입을 복. 복종할 복. 등등의 뜻이 있다  

은 좋을 량. 여기서는 어질 량의 뜻이 아니다.


'문화 > 유교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심보감 25  (0) 2016.06.18
明心寶鑑 24  (0) 2016.06.17
明心寶鑑 22  (0) 2016.06.15
明心寶鑑 21  (0) 2016.06.14
명심보감 20  (0) 2016.06.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