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교문화재

大 學 (傳文) 10~4 ,5장<治國平天下>

吳鵲橋 2017. 1. 12. 09:16

大 學 (傳文) 10~4 장<治國平天下>



詩云 殷之未喪師  克配上帝   儀監于殷     峻命不易    道得衆則得國   失衆則失國
시운    은지미상사엔   극배상제러니 의감우은이어다 준명불역라하니
도득중즉득국하고  실중즉실국이니라


시경에 이르기를

‘은나라가 백성을 잃지 않았을 적엔 상제와 잘 어울렸으니 마땅히 은나라를 거울로 삼고 살펴야

한다  나늘이 내리는 큰 命은 쉽지 않다’ 하였으니 민중을 얻으면 곧 나라를 얻게 되고 민중을

잃으면 곧 나라를 잃게 됨을 말 한 것이다.



是故  君子  先愼乎德  有德此有人  有人此有土  有土此有財  有財此有用
시고로 군자는 선신호덕이니 유덕차유인이오 유인차유토오     유토차유재오   유재차유용이니라


이러므로 군자는 먼저 덕을 쌓아야 한다. 덕이 있으면 이에 사람이 있게 되고 사람이 있으면

이에 땅이 있게 되고, 땅이 있으면 이에 재물이 있게 되고, 재물이 있으면 이에 쓰임이 있게 된다.

 

大 學 (傳文) 10~5 장<治國平天下>



德者本也    財者末也

덕자는 본야오 재자는 말야니

위정자는 덕이 것은 근본이요 재물이란 것은 가지에 해당된다.

外本內末   爭民施奪
외본내말이면 쟁민시탈이니라

근본을 제외하고 말단을 안으로 하면 백성들은 다투어 약탈을 하게 된 다.

是故  財聚則民散  財散則民聚
시고로 재취즉민산하고 재산즉민취니라

이러한 고로 재물이 모이면 곧 백성들이 흩어지고 재물이 흩어지면 곧

백성들이 모이는 것이다.

是故言悖而出者 亦悖而入 貨悖而入者 亦悖而出
시고로 언패이출자는 역패이입하고 화패이입자는 역패이출이니라

이러한 고로 말이 거슬리어 나간 것은 또한 거슬리어 들어오고 재물이

거슬리어 들어온 것은 역시 거슬리어 나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