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體 13>
伊川先生曰 天下之理 終而復始 所以恒而不窮
이천선생왈 천하지리 종이부시 소이항이불궁
이천선생왈 천하지리 종이부시 소이항이불궁
이천선생이 말씀하시기를
"천하의 이치는 끝마치면서 다시 시작되고
그래서 항상 있는 것이며 끝남이 없다.
恒非一定之謂也 一定則不能恒矣 惟隨時變易 乃常道也
항비일정지위야 일정즉불능항의 유수시변역 내상도야
다함이 없는 항(恒)은 일정한 상태를 말함이 아니다. 고정되어 있는 것은 항(恒)이 될 수 없다.
오직 때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고 바뀌어 나가는 것이 곧 상도인 것이다.
天地常久之道 天下常久之理 非知道者 孰能識之
천지상구지도 천하상구지리 비지도자 숙능식지
천지상구지도 천하상구지리 비지도자 숙능식지
하늘과 땅이 오래가는 道와~ 천하의 만물이 오래가는 이치는 道를 아는 사람이
아니고서 누가 능히 알 수 있으랴”하고 말씀 하셨다.
伊川先生曰 人性本善 有不可革者何也
이천선생왈 인성본선 유불가혁자하야
이천선생이 말씀하시기를 "사람의 성품은 본래는 착한 것인데 착한 것으로 바뀌어질 수 없는
어리석음이 있다고 하는 것은 어째서인가.
曰 於其性則皆善也 於其才則有下愚之不移
왈 어기성즉개선야 어기재즉유하우지불이
왈 어기성즉개선야 어기재즉유하우지불이
말하기를 ‘그 성품은 다 착한 것이나 그 기질적인 것을 말한다면
선으로 옮길 수 없는 지극한 어리석음이 있다.
所謂下愚有二焉 自暴也 自棄也
소위하우유이언 자포야 자기야
이른바 지극한 어리석음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스스로 포기하는 것과 스스로 버리는 것이다.
소위하우유이언 자포야 자기야
이른바 지극한 어리석음에는 두 가지가 있으니 스스로 포기하는 것과 스스로 버리는 것이다.
人苟以善自治則無不可移者
인구이선자치즉무불가이자
진실로 사람이 선으로써 스스로를 다스려 나간다면 잘못을 고쳐 나아가지 못할 것이 없다.
雖昏愚之至 皆可漸磨而進
수혼우지지 개가점마이진
비록 지극히 어리석다 하더라도 점차로 수양하면 선으로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有自暴者 拒之以不信 自棄者 絶之以不爲
유자포자 거지이불신 자기자 절지이불위
오직 포기하는 사람만이 이것을 거슬려서 믿지 않으며
버리는 사람은 단념하고 하려고 하지 않는다.
雖聖人與居 不能化而入也 仲尼之所謂下愚也
수성인여거 불능화이입야 중니지소위하우야
비록 성인과 함께 산다고 해도 선의 경지로 들어갈 수 없는 것이다.
공자가 말하는 하우(下愚)인 것이다.
然天下自棄自暴者 非必皆昏愚也
연천하자기자포자 비필개혼우야
그러나 천하에 자포자기하는 사람이 반드시 어둡고 다 어리석은 것은 아니다.
往往强戾而才力有過人者 商辛是也
왕왕강려이재력유과인자 상신시야
왕왕강려이재력유과인자 상신시야
때로는 강폭하고 악하나 남보다 재주가 뛰어난 사람도 있으니
은나라 주왕(紂王)과 같은 사람이 바로 그러한 것이다.
聖人以其自絶於善 謂之下愚 然考其歸則誠愚也
성인이기자절어선 위지하우 연고기귀즉성우야
성인은 그 스스로 선에 나가기를 단념한 사람을 일러 하우(下愚)라고 말했는데
그러나 그 귀결점을 살펴보면 진실로 어리석은 자이다’고 하였다.
旣曰下愚其能革面何也
기왈 하우기능혁면하야
이미 ‘어리석은 사람’이라 말하면서도 착하게 꾸밀 수 있는 것은 어찌된 일인가
曰 心雖絶於善道 其畏威而寡罪則與人同也
왈 심수절어선도 기외위이과죄즉여인동야
말하기를 ‘마음은 비록 착함이 없다 하더라도 그 위엄을 두려워하여
죄를 덜 짓는 것은 다른 사람과 같다.
唯其有與人同 所以知其非性之罪也
유기유여인동 소이지기비성지죄야
오직 그가 다른 사람과 같다는 것을 미루어
그의 성품의 잘못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라고 하셨다.
'기타 > 교훈.훈화말' 카테고리의 다른 글
百忍의 유래 (0) | 2017.09.07 |
---|---|
<道體 14> (0) | 2017.09.03 |
<道體 10-12> (0) | 2017.08.26 |
<道體 09> (0) | 2017.08.21 |
<道體 07, 08> (0) | 2017.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