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사회,민속기타

올레

吳鵲橋 2016. 4. 24. 15:00


요즈음 올레길이라는 말을 많이 하는데 그 올레의 본 뜻이 무엇일까

찾아보았더니...

올레


올레( ᄋᆞᆯ레  )는    
      
 제주도 주거 형태의 특징적인 구조로 볼 수 있으며, 큰 길에서 집까지 이르는 골목을 의미하는 제주어이다. 제주의 거친 바람으로부터 가옥을 보호하기 위해서 집 주변으로 돌담을 쌓았다. 하지만 돌담의 입구로 불어 오는 바람을 막지를 못하기 때문에 입구에서부터 좁은 골목을 만들었다. 제주에 많은 현무암을 쌓아 만들었다

암이 걸리는 이유는 오래살기 때문이다.

암이 많이 걸리는 이유는 오래살기 때문이다.
옛날에는 일찍 죽었으니까 ( 암이 발견되기전에)
고미반자는 고미보(집의 길이로 길게 된 보)에 고미서까래를 걸고 서까래 사이를 판자로 마감한 천장
사랑이 담긴 음식을 먹어야 아이가 건강해진다.
여자는 더 적게 남편을 사랑하고 남자는 아내를 더 많이 사랑해야 한다.
20대는 사랑으로 30대는 노력으로 40대는 인내로 50대는 체념으로 살아간다.
오늘이 남은 인생의 첫날이다.
자연처럼 지혜로우면 된다.
칠불사는 김수로왕의 왕자 7명이 암자를 짓고 수행하다가 모두 성불하여 그 자리에 칠불사를 김수로왕이 세웠다고 한다.
산양삼은 산삼씨를 뿌려 자연상태에서 기른 것이고
장뢰삼은 인삼씨를 뿌려 자연상태에서 기른 것이라고 하는데 요즈음은 이것도 산양삼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다.
심봤다의 심은 산삼의 한국 고유명칭이다. 심이란 산삼을 말하는 것이다.
댐이란 둑 높이가 6미터이상이고 300만톤의 수량을 말하나 한국의 4대강 보는 이 기준을 다 넘으며 함안보는 1억 2천만톤이라고 한다. 그래도 보라고 우기는 정부를 믿어야 한다. 댐으로 인하여 녹조현상이 일어나고 고인물은 썩는다는 이야기를 하면 괴담이라고 한다. 4대강을 잘 관리하는 방법은 댐(보)을 허무는 것이 가장 좋은 것이라고 서울대 환경대학 김정욱 교수(하천학회회장, 세계 물포럼 한국이사장)는 말한다.
북한강이 가장 맑은데 녹조가 먼저 생기는 이유는 댐이 가장 많기 때문이란다.
댐을 지으면 물이 흐려진다고 하였더니 방송을 중단하였다고 한다.
정부에서는 댐을 하고 나니 인이 줄었다고 발표하였는데 준 것이 아니라 가라앉았다고 한다.
5미터까지의 습지규정을 특별법으로 없에 버리고 강 옆을 밀어내고 자전거도로 공원을 만들어서 엄청난 오염물질이 일시에 들어가게 되었단다.
공사는 남한강에서 하고 수질은 북한강의 것을 재었다고 하니 기가 막힌다.
댐에 들어오는 물은 재지않고 가라앉은 다음에 윗물을 떠서 재었다.
운하공사를 댐(보)으로 바꾸었을 뿐 공사내용은 바꾸지 않았다고 한다.
공사비로 사용한 22조란 돈은 예수 탄생후 매일 3000만원을 써야 하는 돈이다.
댐 유지관리비가 매년 2조원 들어가야 한단다.
25-35%가 이미 강바닥데 쌓였다고 한다.
강바닥을 파서 주위의 지층이 무너졌기 때문에 다시 공사를 하려면 15조가 든다고 하니 하지마라고 하였다가 다시 하라고 지시하였다고 한다.
합천과 함안댐의 주위에는 농토에 물이 차서 농사를 지을 수 없게 되었다고 한다.
홍수나 가뭄의 피해는 산골이나 도서지방인데 댐은 강 중하류에 만들었으니 어떻게 이욯할 수 있겠는가? 물만 모아놓았지 줄 수는 없다.
강원도의 쩍쩍 갈라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댐은 낙동강에...
지구상에 이런 방법으로 댐을 만든 나라는 없다고 한다.
강을 살리는 가장 좋은 방법은 댐을 허무는 일이 가장 값싸고 좋은 방법이다.
유지하려면 몇 배의 돈이 들어간다.
22조가 들어갔는지 모른다고 경실연에서는 반으로 할 수 있는 공사라는 이야기도 있다.
기록도 보여주지 않는다고 한다.
인공적으로 만든 것은 자연으로 되돌리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다.
미국에서는 이미 600개의 댐을 폭파하였다고 한다.
4대강사업을 영어로는 4대강 복원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돈이 안 들어가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