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 暴虎憑河, 死而無悔者, 吾不與也 포호빙하, 사무회자, 오불여야 (논어)
함부로 날뛰며 죽음을 가벼이 여기는 자는 나와 함께 일할 수 없다.
102. 旣明且哲 以保其身 기명차철 이보기신 (중용) 이미 명철(明哲)하다면 그것으로 그 몸을 보전할 수 있다.
103. 問鼎之輕重 문정지경중 (좌전) 권위가 얼마나 크고 넓은지 질문해 본다.
104. 鞠躬盡力 死而後已 국궁진력 사이후이 (삼국지) 명령을 받들어 힘을 다하고 죽기까지 최선을 다한다.
105. 君子交絶不出惡聲 군자교절불출악성 (사기) 군자는 교제를 끊더라도 남의 험담을 하지 않는다.
106. 管鮑之交 관포지교 (사기) 관중(管仲)과 포숙아(鮑叔牙)의 참다운 우정
107. 不慮胡獲, 不爲胡成 불려호획, 불위호성 (서경)
깊이 생각치 않으면 얻지 못하고 행위로 옮기지 않으면 이루지 못한다.
108. 瓜田不納履, 李下不整冠 과전불납복, 이하부정관 (문선)
오이밭에서는 신을 다시 신지 말고 오얏나무 밑에서는 관을 고쳐 쓰지 마라.
109. 他山之石, 可以攻玉 타산지석, 가이공옥 (시경) 다른 산에서 나온 나쁜 돌로 자기의 옥(玉)을 간다.
110. 三人行, 必有我師焉 삼인행, 필유아사언 (논어) 세 명이 길을 가노라면 반드시 스승 될 만한 이가 있다.
111. 苛政猛於虎 가정맹어호 (예기) 혹독한 정치는 호랑이보다 더 무섭다.
112. 天下多忌諱, 而民彌貧 천하다기휘, 이민비빈 (노자)
천하에 금령(禁令)이 많으면 백성들은 점점 더 빈곤해진다.
113. 窮亦樂, 通亦樂 궁역락, 통역락 (장자) 궁(躬)해도 즐기며 통(通)해도 또한 즐긴다.
114. 花看半開, 酒飮微醉 화간반개, 주음미취 (채근담)
꽃은 반쯤 피었을 때가 아름답고 술은 거나하게 취했을 때가 좋다.
115. 禍福無門, 唯人所召 화복무문, 유인소초 (좌전)
화와 복은 들어오는 문이 따로 없다 내가 불러들일 뿐이다.
116. 轉禍而爲福 전화이위복 (전국책) 화(禍)가 복이 된다.
117. 接人則渾是一團和氣 접인즉혼시일단화기 (근사록) 사람들을 접할 때에는 따뜻한 분위기를 잊지 마라.
118. 君子必愼其獨也 군자필신기독야 (대학) 군자(君子)는 반드시 혼자 있을 때에 근신한다.
119. 見險而能止, 知矣哉 견험이능지, 지의재 (역경) 위험하다고 느꼈을 때에 멈출 줄 알아야 지인(知人)이다.
120. 敖不可長, 欲不可從 오불가장, 욕불가종 (예기)
오만 때문에 상하고 욕심 때문에 곤혹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