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불행은 두 가지가 있는 것 같다.
맹자의 3불행은 1. 축재에 전념하는 것. 2. 자기 처자만 사랑하는 것. 3. 불효라고 한다.
맹자의 3불행은 1. 축재에 전념하는 것. 2. 자기 처자만 사랑하는 것. 3. 불효라고 한다.
정이의 3불행은
1. 젊어서 높은 벼슬에 오르는 것
2. 부형의 힘으로 현관이 되는 것
3. 재능이 있어 문장에 능한 것
2. 부형의 힘으로 현관이 되는 것
3. 재능이 있어 문장에 능한 것
3불혹은 술, 재물, 여자라고 한다.
3불효는
1. 부모를 불의에 빠지게 하는 것
2. 가난 속에 버려 두는 것
3. 무자식이 되어 제를 끊는 것
2. 가난 속에 버려 두는 것
3. 무자식이 되어 제를 끊는 것
5복은 壽, 富, 康寧, 攸好德. 考終命이라고 한다.
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자신을 감동시키면서 살아라.
이만 하기가 다행이다.
찡그린 미인보다는 웃는 박색이 낫다.
도전은 삶을 긴장시키고 활기를 불어넣어준다.
자기를 반성하는 사람은 부딪히는 일이 모두 약이 되고
남을 원망하는 사람은 생각할 때마다 그것이 모두 창(병)이 되어 돌아온다.
정신을 맑게 하고 생각을 가지런히 하는 것은 청산백운만한 것이 없다.
사찰의 4종의 꽃은 만다라꽃, 마하만다라꽃, 만수사꽃, 마하만수사꽃
도량에 내리는 꽃비는 해탈의 꽃이요. 공양의 마음이요, 깨달음의 서원이다.
1645년 통도사 적멸보궁에서 처음으로 꽃살문을 만들었으며 18세기에 더욱 발전하였다.
절에 피는 꽃을 각화(깨달음의 꽃)라고도 한다.
법고소리는 과거,현재,미래의 공이며 부처님께 바치는 최고의 음성공양이다.
조선후기에 오면서 사찰경제가 좋지 못하자 토속신앙과 민간신앙을 끌어들어 일반시민들이 출입하도록 하였다
자신을 감동시키면서 살아라.
이만 하기가 다행이다.
찡그린 미인보다는 웃는 박색이 낫다.
도전은 삶을 긴장시키고 활기를 불어넣어준다.
자기를 반성하는 사람은 부딪히는 일이 모두 약이 되고
남을 원망하는 사람은 생각할 때마다 그것이 모두 창(병)이 되어 돌아온다.
정신을 맑게 하고 생각을 가지런히 하는 것은 청산백운만한 것이 없다.
사찰의 4종의 꽃은 만다라꽃, 마하만다라꽃, 만수사꽃, 마하만수사꽃
도량에 내리는 꽃비는 해탈의 꽃이요. 공양의 마음이요, 깨달음의 서원이다.
1645년 통도사 적멸보궁에서 처음으로 꽃살문을 만들었으며 18세기에 더욱 발전하였다.
절에 피는 꽃을 각화(깨달음의 꽃)라고도 한다.
법고소리는 과거,현재,미래의 공이며 부처님께 바치는 최고의 음성공양이다.
조선후기에 오면서 사찰경제가 좋지 못하자 토속신앙과 민간신앙을 끌어들어 일반시민들이 출입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