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유교문화재

노마지지

吳鵲橋 2016. 12. 13. 07:06

 

늙은(老)(馬)(之) 지혜(智)
하찮은 것이라도 연륜이 깊으면 나름의 장점과 특기가 있음.
중국 춘추 시대 때, 제(齊)나라 환공(桓公)은 재상인 관중(管仲)과 대부 습붕(朋)을 데리고 다른 나라를 정벌하러 나섰다. 그 해 겨울에 전쟁을 마치고 매서운 추위를 견디며 지름길을 찾아 귀국하다가 길을 잃고 말았다. 관중이 말했다. “이런 때는 늙은 말의 지혜을 이용할 만하다.”하고 곧 늙은 말을 풀어 그 말이 가는 방향을 따라 가서 길을 찾을 수 있었다. 또한 물이 바닥나 갈증에 고생하고 있을 때 습붕이 말했다. “개미는 겨울이면 남쪽의 따뜻한 곳에 집을 짓고 여름이면 북쪽의 추운 곳에 집을 짓는다. 그러므로 개미집의 높이가 한 치라면 그 지하 여덟 자를 파면 물이 있다.”고 말하였다. 파보니 과연 물을 얻을 수 있었다.
<더 상세한 내용>

노마지지(老馬之智)

:늙을 로. :말 마. :어조사 지. :지혜 지.

       늙은 말의 지혜란 뜻으로, 아무리 하찮은 것일지라도 저마다 장기나 장점을 지니고 있음

춘추 시대, 오패()의 한 사람이었던 제()나라 환공(桓公:재위 B.C.685643) 때의 일이다. 어느 해 봄, 환공은 명재상 관중(管仲:?B.C.645)과 대부 습붕(鈒朋)을 데리고 고죽국[孤竹國:하북성(河北省) ]을 정벌하러 나섰다. 그런데 전쟁이 의외로 길어지는 바람에 그 해 겨울에야 끝이 났다. 그래서 혹한 속에 지름길을 찾아 귀국하다가 길을 잃고 말았다. 전군(全軍)이 진퇴 양난(進退兩難)에 빠져 떨고 있을 때 관중이 말했다.

"이런 때 '늙은 말의 지혜[老馬之智]'가 필요하다."
즉시 늙은 말 한 마리를 풀어놓았다. 그리고 전군이 그 뒤를 따라 행군한 지 얼마 안 되어 큰길이 나타났다.

한번은 산길을 행군하다가 식수가 떨어져 전군이 갈증에 시달렸다. 그러자 이번에는 습붕이 말했다.
"
개미란 원래 여름엔 산 북쪽에 집을 짓지만 겨울엔 산 남쪽 양지 바른 곳에 집을 짓고 산다. 흙이 한 치[一寸]쯤 쌓인 개미집이 있으면 그 땅 속 일곱 자쯤 되는 곳에 물이 있는 법이다
."
군사들이 산을 뒤져 개미집을 찾은 다음 그곳을 파 내려가자 과연 샘물이 솟아났다.

이 이야기에 이어 한비자(韓非子:韓非, ?B.C.233)는 그의 저서《한비자》에서 이렇게 쓰고 있다.

"관중의 총명과 습붕의 지혜로도 모르는 것은 늙은 말과 개미를 스승으로 삼아 배웠다. 그러나 그것을 수치로 여기지 않았다. 그런데 오늘날 사람들은 자신이 어리석음에도 성현의 지혜를 스승으로 삼아 배우려 하지 않는다. 이것은 잘못된 일이 아닌가."

[] '노마지지'란 여기서 나온 말인데 요즈음에도 '경험을 쌓은 사람이 갖춘 지혜'란 뜻으로 흔히 쓰이고 있음. [유사어]老馬識途(노마식도:늙은 말이 길을 안다)

[출전]《韓非子》<說林篇〉                    

 

 

'문화 > 유교문화재'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大學序文 <2>  (0) 2016.12.17
大學序文 <1>  (0) 2016.12.16
근묵자흑  (0) 2016.12.12
결자해지  (0) 2016.12.11
낭중지추  (0) 2016.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