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교훈.훈화말

난득호도(難得糊塗

吳鵲橋 2016. 5. 24. 18:05



(퍼옴)

난득호도(難得糊塗) - 『정판교(鄭板橋)』

 

 - 총명한 사람이 어리석게 보이기는 어렵다 -



“어려운 세상에 자신의 빛을 감추고 어리석은 사람처럼 살아간다는 것은 정말 어려운 일이다.” 청나라 때 팔대 기인 중에 한 사람인 정판교(鄭板橋)라는 사람의 말입니다. 동양에서 자신의 빛을 감추고 산다는 것은 현명한 사람들의 인생철학이다.



우리는 흔히 잘못된 정보를 들었을 때 "이야기를 호도(糊塗)하지 말라" 라는 표현을 씁니다. 호도를 한자 그대로 직역하면, 풀로 칠하고(糊) 진흙으로 덮는 것으로(塗), 진실을 감추고 흐지부지하게 결말을 덮어버리려는 말이다. 그러면 이것을 사람에 빗대면 어떨까? 한 마디로 흐리멍덩하고 어리석은 사람이 될 것이다. 따라서 난득호도(難得糊塗)는 "어리석기 어렵다"는 의미다.



손자병법에도 자신의 모습과 의도를 상대방에게 함부로 보이지 말라고 충고하면서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상대방의 의도와 모습은 환하게 보고, 나의 의도나 모습은 밖으로 드러나지 않게 한다.” 상대방의 의도는 거울을 보듯이 빤히 알고 있고 나의 의도는 상대방이 전혀 모를 때 생존력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결국 자신의 의도와 실체를 노출 시키지 않는 사람이 이긴다는 것입니다. 이것이 손자가 말하는 보일 시(示)자, 모습 형(形)자, 시형법(示形法)입니다. 시형법이란 상대방에게 내 모습을 자유자재로 보이게 만드는 전략입니다. 나를 상대방에게 유능한 사람으로 보이게 할 수도 있고 어떨 때는 바보 같은 사람으로 보이게 할 수도 있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상황에 따라 내 의도대로 내 모습을 감추는 것이 시형법의 내용이다.

청나라 시인 정판교의 바보가 되기는 어렵다는 뜻의 ‘난득호도(難得糊塗)’의 시는 이렇다.
聰 明 難 糊 塗 難, 由 聰 明 而 轉 入 糊 塗 更 難, 放 一 着 退 一 步, 當 下 心 安, 非 圖 後 來 福 報 也.
총명난호도난, 유총명이전입호도경난, 방일착퇴일보, 당하심안, 비도후래복보야.

“똑똑해 보이는 것도 어렵지만 바보처럼 보이기도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총명하면서 바보처럼 보이기는 더욱 더 어렵다.
총명함을 내려놓고 일보 뒤로 물러나라!
하늘 일마다 마음이 편할 것이다.
의도하지 않아도 나중에 복이 올 것이다.”

난세를 살아가는 몇 가지 방법 중에 자신의 모습과 의도를 드러내고 사는 방법도 있고, 그저 초야에 묻혀 자신의 빛과 광채를 감추며 사는 방법도 있습니다. 어느 하나 쉽지 않는 선택입니다. 그러나 난세에는 잠시 자신의 광채를 내려놓는 것도 아름다운 삶의 한 방식이 아닌가 싶다.

똑똑함이 시대를 잘못 만나면 인생이 너무 증오스러워 지기도 합니다.
정말 아름다운 광채는 겉으로 빛이 드러나지 않습니다.


聰 明 難 糊 塗 難
밝을 총, 밝을 명, 어려울 난, 풀 호, 진흙 도, 어려울 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