又 (또 우) ; [ 오른손, 도움의 상징 ]
又는 갑골문에서 오른손을 그렸는데, 다섯 손가락이 셋으로 줄었을 뿐
팔목까지 그대로 표현 되었다.
그래서 又는 取(취할 취)나 受(받을 수)와 같이 주로 손의 동작을 나타낸다.
형체가 조금 변했지만 秉(잡을 병)이나 筆(붓 필)에도 又의 변형된 모습이
들어있다.
又는 이후 ‘또’라는 의미로 가차되어 지금은 이 뜻으로 더 자주 쓰인다.
叉(깍지 낄 차)는 손가락(又) 사이로 무엇인가 끼워져 있는 모습을 그렸다.
또 及(미칠 급)은 사람(人)의 뒤쪽을 손(又)으로 잡은 모습에서 ‘잡다’의 뜻이,
다시 어떤 목표에 ‘이르다’의 뜻이 생겼다.
요즘 낙양의 지가를 올리고 있는 ‘미쳐야 미친다’는 ‘不狂不及(불광불급:
미치지 않으면 미치지 못한다)’을 우리말로 멋지게 풀어 낸 이름이다.
그런가 하면 友(벗 우)는 오른손(又)두 개가 같은 방향으로 나란히 놓인 모습
이다.
오른손은 도움을 상징하며, 어려울 때 도움을 줄 수 있는 관계가 友라는 의미를
형상화했다.
‘주례’에서 ‘같은 스승을 모시는 관계가 朋(벗 붕)이요, 뜻을 같이 하는 관계가
友’라고 한 것을 보면, 도움엔 뜻을 같이 하는 것보다 더 큰 것은 없어 보인다.
그리고 受는 손(爪손톱 조)과 손(又)사이에 어떤 물건이 놓여, 물건을 주고 받는
다는 의미를 그렸다.
그래서 受 에는 ‘주다’와 ‘받다’는 뜻이 같이 들어 있었으나, 이후 ‘주다’는
手(손 수)를 더한 授(줄 수)로 구분했다.
그리고 叔(아재비 숙)은 콩 넝쿨;(叔에서 又를 뺀 나머지 글자)숙을 손(又)으로
잡고 콩을 따는 모습을 그려 ‘콩’이 원래 뜻이였으나, 叔父(숙부)에서처럼 항렬
에서 셋째를 뜻하는 의미로 가차되었다.
그러나 원래 뜻은 艹 (풀 초)를 더한 菽(콩 숙)으로 분화했다.
叟(늙은이 수)도 자원을 살피면 원래 갓머리(宀☞집, 집 안)에서 햇불 (火)을
손(又)에 들고 무엇인가를 찾는 모습을 그렸는데, 이후 지금의 형체로 변했다.
그래서 叟는 ‘찾다’가 원래 뜻인데, 다시 노인이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그러자 원래 의미는 手를 더한 授 (찾을 수)로 분화했다.